본 연구는 정맥의 서식지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8개의 중점조사지역에서 지형, 서식지 환경을 고려하여 각 지점별로 개발지, 계곡부, 임도 및 능선 3가지 서식지유형으로 총 54개의 고정조사구를 선정하였다. 조사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겨울철을 제외한 계절별(5월,8월, 10월)로 수행하였다. 서식지 유형별로 관찰된 조류를 자기조직화지도(SOM)를 활용하여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MRPP, A=0.12, p <0.005). 자기조직화지도 그룹별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지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지수 모두 Ⅲ번 그룹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Kruskal-Wallis, 종수: x2 = 13.436, P <0.005; 개체수: x2 = 8.229, P <0.05; 종다양도: x2 = 17.115, P <0.005). 또한 그룹별 지표종 분석과, 서식지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지피복도를 랜덤 포레스트 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 그룹간의 서식지환경이 구성하는 비율과 지표종에 차이를 보였다. 지표종 분석은 Ⅱ번 그룹을 제외한 3그룹에서 총 18종의 조류가 지표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조직화지도 를 활용하여 4개 그룹으로 분류된 결과를 기초로 랜덤 포레스트 모델과 지표종 분석을 적용하였을 때 그룹별 지표종 구성과 그룹별 서식지 특성과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그룹별 우점하는 서식환경에 따라 관찰된 종의 분포패턴과 밀도가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다. 자기조직화지도와 지표종분석,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함께 적용한 분석은 서식지 환경에 따라 조류 서식 특징파악에 유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Jeongmaek. A total of 18 priority research areas wer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to terrain and habitat environment, and 54 fixed plots were selected for three types of habits: development, valley, and forest road and ridg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each season (May, August, and October), excluding the winter season, from 2016 to 2018.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birds observed in each habitat type using a self-organizing map (SOM) classified them into a total of four groups (MRPP, A=0.12, and p <0.005).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umber of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for each SOM group showed that they were all the highest in group III (Kruskal-Wallis, the number species: x2 = 13.436, P <0.005; the number of individuals: x2 = 8.229, P <0.05; the species diversity index: x2 = 17.115, P <0.005). Moreover,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land cover map to the random forest model to examine the index species of each group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environment showed a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habitat environment and the indicator species among the four groups. The index species analysis identified a total of 18 bird species as the indicator species in three groups except for group II. When applying the random forest model and indicator species analysis to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into four groups using the SOM,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 species by the group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Moreover,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densities of observed spec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ominant habitat for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at applied the SOM, indicator species, and random forest model together can derive useful resul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bird habitats according to the habitat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