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스포츠 손상 선수의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최소 8주 이상의 재활 기간이 남아있는 D 대학교 야구팀 손상 선수 14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요구분석 자료,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자문 자료를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긍정 심리 프로그램(오리엔테이션, 음미하기, 감사하기, 강점 찾기, 주의집중력, 루틴, 희망 고취하기, 종결)은 주 1-2회, 50∼60분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검사지(PANAS), 자아존중감 검사지(RSE), 행복 검사지(Happiness measures), 재활 능력 검사지(RCQ)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 프로그램 평가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측정하였다. 결과: 양적 검증 결과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스포츠 손상 선수의 긍정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 감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검증 결과는 긍정 심리 프로그램 구성의 적합성과 유효성을 지지해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긍정 심리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that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emotion, self-esteem, happiness, and rehabilitation capability of injured athlete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14 injured athletes of the D University baseball team who had at least 8 weeks of rehabilitation remaining. Thi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needs analysis data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reviews of related prior studies, and expert advice.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Orientation, Savoring, Gratitude, Finding Strengths, Gravity of Attention, Routine, Inspiring Hope, and Clos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50-60 minutes, 1-2 times a week. As measurement tool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Self-Esteem Scale(RSE), Happiness measures, and Rehabilitation Capability Questionnaire(RCQ) were use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program evaluation paper was used to in-depth analysi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 evaluation of the program. Result: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ositive emotion, self-esteem, happiness and rehabilitation capability of injured athlet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gative reduction.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verification,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confirmed.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