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on Over-Refraction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When Fitted on Flat Cornea after Refractive Corneal Surgery KCI 등재

각막 굴절교정 수술 후 Flat 각막에 다른 종류의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덧댐굴절검사 값과 각막 지형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8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Flat 각막에 다른 종류의 소프트렌즈를 피팅 시 덧댐굴절검사 값과 각막지형도기기 측정 시 변화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평균 각막 곡률은 평균 8.40±0.20 mm를 가진 20명(23.38±2.65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동일 도수의 렌즈(-3.00 D)를 가진 두 가지의 BC(8.5와 9.0 mm) 렌즈와 두 가지 재질(하이드로겔 렌즈 그리고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참여자들이 착용을 하였다. 렌즈 안정화 이후 자동굴절검사계(KR-8100)를 이용한 덧댐굴절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Oculus Keratograph 5M)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착용 전 굴절이상 값을 기준으로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 4종의 렌즈 간 착용 전⋅후의 자동굴절계 변화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293), 각막 지형도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베이스 커브와 재질별 분석에서, 자동굴절계 측정치의 차이값은 베이스 커브가 BC 9.0 mm인 0.16±0.04 D, 8.5 mm인 경우 0.19±0.04 D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420), 하이드로겔 재질은 0.12±0.04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23±0.04 D의 변화를 보여서 또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 다(p=0.064). 각막 지형도 변화 차이에서는 BC 9.0 mm은 0.36±0.01 D, BC 8.5 mm는 0.34±0.01 D로 BC 차 이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393), 하이드로겔 0.32±0.01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39±0.01 D의 변화를 보여 재질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결론 : Flat 각막일 때 소프트렌즈 착용 시 렌즈의 각막과 밀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어, 덧댐굴절검사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소프트렌즈는 낮은 모듈러스로 flat 각막임에도 렌즈와 각막 간의 이격이 정상적인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flat 각막으로 피팅 시 렌즈의 움직임으로 인한 불편함은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이나, 굴절이상 교정 효과는 정상적인 각막과 유사한 정도의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earing different types of soft contact lenses on flat cornea could impact on the measurement of over-refraction using Autorefractokeratometer(ARK) and corneal topography. Methods : Twenty participants with average cornea curvature of 8.40±0.20 mm (23.38±2.65 years) participated. Each participant worn –3.00 D of two different Base Curve (BC, 8.5 mm and 9.0 mm) and two different materials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Over-refraction (KR-8100P) and corneal topography measurement (Oculus Keratograph 5M) were conducted. The amount of changes was analyzed based on the refractive error before wearing after correcting the power of the worn lens. Results : Among 4 types of lenses used in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ARK measurement (p=0.293), while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topography measurement (p<0.001). For over-refraction with ARK, the difference in BC 9.0 and BC 8.5 (p=0.420) was 0.16±0.04 D and 0.19±0.04 D, respectively. Difference in hydrogel material and hydrogel materials (p=0.064) was 0.12±0.04 D and 0.23±0.04 D, respectively. For topography changes, the difference in BC 9.0 and BC 8.5 (p=0.393) was 0.36±0.01 D and 0.34±0.01 D, respectively. Difference in hydrogel material and silicone hydrogel materials was 0.32±0.01 D and 0.39±0.01 D, respectivel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erials (p<0.001). Conclusion : Theoretically, fitting soft contact lenses on the flat cornea may influence the over-refraction results due to misalignment between cornea and contact lenses. However, the latest soft contact lenses with low modulus showed well-aligned with cornea. Therefore, when fitting soft contact lenses on the flat cornea, discomfort due to lens movement needs to be carefully monitored. However, a similar effect of refractive correction would be expected compared to when fitting on a normal corneal shape.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 과
    1. 자동굴절력계를 통한 굴절력 변화량
    2. 자동굴절력계를 통한 렌즈 재질 차이에 따른굴절력 변화
    3. 자동굴절력계를 통한 베이스 커브 차이에 따른굴절력 변화
    4. 각막 지형도를 통한 굴절력 변화
    5. 각막 지형도를 통한 렌즈 재질 간 굴절력 변화
    6. 각막 지형도 측정을 통한 서로 다른 BC 렌즈 착용후 굴절력 변화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Yee-Rin Jung(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예린
  • Hyung-Min Park(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형민
  • Byoung-Sun Chu(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추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