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브루나이 열대우림의 산림 유형별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 KCI 등재

Aboveground biomass of tropical rain forests by forest type in Brunei Darussal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9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시아 열대우림의 대표 산림 유형인 MDF, PSF 그리고 HF에서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것이다. 브루나이에서 MDF, PSF 그리고 HF를 대상으로 각각 3개 지역을 선정하여 20 m×20 m 조사구를 지역마다 9개씩 설치하고 흉고직경 10 cm 이상인 임목의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측정된 흉고직경과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추정되었다.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MDF, PSF 그리고 HF에서 각각 603.3±159.9, 305.9±23.4 그리고 284.3±19.3 Mg ha-1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 유형에 따라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MDF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흉고직경이 70 cm 이상인 거대목이 MDF에서 집중 되어 출현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 유형에 따라 거대목의 출현빈도가 다르며, 나아가 거대목의 출현이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라는 의미를 가진다.

The aboveground biomass (AGB) was estimated in mixed dipterocarp forests (MDF), peat swamp forests (PSF), and heath forests (HF) in Brunei Darussalam. A total of 81 (20 m×20 m) plots were established for MDF, PSF, and HF in three regions.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of all live trees (DBH≥10 cm) was measured within the plots. The AGB was calculated using an allometric equation with the measured DBH. The AGB (Mg ha-1) for MDF, PSF, and HF was 603.3±159.9, 305.9±23.4, and 284.3±19.3, respectively,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rest types (p<0.05). The greater AGB in MDF than those in PSF and HF was due to the presence of emergent trees in MD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emergent trees varied by forest type. Consequently, the appearance of the emergent trees could be one of the main factors affecting AGB in Southeast Asia’s tropical rain forest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적 요
REFERENCES
저자
  • 장민주(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Minju Ja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노유진(국립생태원 보전평가연구본부 기후생태연구실) | Yujin Roh (Division of Climate & Ecology, Bureau of Conservation & Assess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형섭(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Hyung-sub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이정민(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Jeongmin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손요환(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Yowhan S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