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Focusing on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167
  • DOIhttps://doi.org/10.26734/JFE.2021.11.04.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2018년도 자료 중 고등학생 3,410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자아 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와 참여정도에 영향을 받아 청소년활동 만족도가 높고 청소년활동 참여정도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나타나청소년활동 만족도 및 참여정도는 청소년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solutions to enhanc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that affecte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To this end,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3,410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 2018 data of the ‘Research on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Second,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were effected by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level,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sense of community. Therefore, it could be seem that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level had an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or as reference data for related policies.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손한결(이화여자대학교) | Han Gyeol So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