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지역에 있어서 기후요인과 사료용 옥수수(Zea mays L.)의 수량과의 상관성 분석 KCI 등재

Correlation Analysis of Climatic Factors with Forage Maize (Zea mays L.) Yiel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사료용 옥수수(Zea mays L.)의 수량과 기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사료용 옥수수 품종은 광평옥이었으며, 2017년에서 2019년까지 3년간 경상남도(진주)와 전라남도(나주, 장흥)의 시험포장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평균 간장은 경상남도에서 250.1±52.9 cm로 전라남도의 215.2±25.2 cm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암이삭 평균 착수고의 경우에도 경상남도가 119.8±31.4 cm로 전라남도의 89.5±18.3 cm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의 평균 총 건물수량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경상남도에서 16045±5012 kg·ha-1로 더 많았다. 이러한 차이는 옥수수 유식물 정착기인 5월 중의 유효적산온도와 강수량, 그리고 전 생육기간 중의 일조시간 등이 경상남도 지역이 더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암이삭의 평균 건물수량은 경상남도가 6363±2728 kg·ha-1로 전라남도의 3998±2750 kg·ha-1 보다 더 많았는데, 이는 개화결실기 때의 평균 최고기온에 노출정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사료용 옥수수의 기후요인과 건물수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5월 강수량(0.54)과 6월 강수량(0.52), 그리고 8월 평균기온(0.60)과 8월 평균 최고기온(0.60)이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경엽부 건물수량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초기 유식물 생육기의 강수량이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며, 여름철 고온기인 8월의 기온이 C4작물인 옥수수의 생장에 중요한 요인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암이삭 건물수량은 웅수와 암이삭이 직접 대기에 노출되는 시기인 7월의 평균기온(-0.85)과 평균 최고기온(-0.79)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개화 수정기 때의 고온이 결실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향후 기후요소가 옥수수의 생육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축적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yield of forage maize (Zea mays L.) and climatic factor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Forage maize variety, Gwangpyeongok, was used in the experiment, and it was conducted in test fields in Gyeongsangnam-do (Jinju) and Jeollanam-do (Naju, Jangheung) for 3 years from 2017 to 2019, respectively. The average Stem height of maize was 250.1±52.9 cm in Gyeongsangnam-do,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215.2±25.2 cm in Jeollanam-do. In the case of the average ear height, Gyeongsangnam-do was 119.8±31.4 cm,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Jeollanam-do 89.5±18.3 c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total dry matter yield of maize, but it was higher in Gyeongsangnam-do at 16045±5012 kg·ha-1. This difference is thought to be due to the fact that Gyeongsangnam-do had more growing degree days and precipitation in May, the period of settlement of maize seedlings, and sunshine duration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The average dry matter yield of ears was 6363±2728 kg ha-1 in Gyeongsangnam-do, which was higher than 3998±2750 kg ha-1 in Jeollanam-d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imatic factors and the total dry matter yield,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in the total precipitation in May (0.54) and June (0.52),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n August (0.60) and th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in August (0.60). Correlation in the dry matter yield of the stover also showed a similar trend.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total precipitation during the early growing season on dry matter is important. It is thought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growth. In addition, the dry matter yield of ea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0.85) and th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0.79) in July, when tassel and ears are directly exposed to the air temperature. It could be inferred that air temperature during pollination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ear dry matter yield. Addition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accumulate data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effects of climate factors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forage maize.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재배방법
    2. 조사방법
    3.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옥수수 생육 특성, 병해충 및 도복 저항성
    2. 옥수수의 수량과 기후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References
저자
  • 민창우(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농업생명과학연구원) | Chang-Woo Min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준우(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Woo Le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동현(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ong-Hyun Kim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정종성(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 Jeong-Sung Jung (Grassland and Forag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이병현(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BK21)/농업생명과학연구원) | Byung-Hyun Le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 IAL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