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태복원 식물종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cological Restoration Plant Species Use - Focusing on the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Fund Return Project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3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이 연구는 생태복원을 하는 데 있어서 식물종을 사용하는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최근 6년간 수행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58개소에 대한 식재 도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식재한 식물의 분석은 준공 및 설계도면을 이용하여 전체 선정 현황과 함께 성상별, 규격별, 식생 기후대별, 육상 및 습지의 서식처별, 자생식물과 재배식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조사 및 분석 과정에서 식물 이름이 잘못된 경우가 많아서 이에 대한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58개 대상지에서 식재에 사용한 식물은 282 분류군이었으며, 교목류는 91종, 관목류는 69종, 만경목 11종, 초본류는 111종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식물종은 조팝나무, 팥배나무, 상수리나무, 잔디, 좀작살나무와 병꽃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교목 중에서는 팥배나무, 상수리나무, 이팝나무, 느티나무, 산수유 순이었으며, 관목류는 조팝나무, 병꽃나무, 좀작살나무, 산철쭉, 화살나무 순이었다. 초본류는 잔디, 구절초, 벌개미취, 물억새, 수크령 순이었다. 식생기후대별 분석에서는 온대중부산림대와 난대수림대 모두에서 조팝나무, 좀작살나무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 는데, 이러한 패턴은 기후대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서식처별 분석 결과, 습지에서는 물억새와 털부처꽃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자생식물과 재배식물의 선정 비율이 76% 대 24%로 재배식물의 선정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도면에 적시된 식물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 및 국가생물종목록에 나타나지 않는 보통명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앞으로 식물명에 대한 올바른 사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생태복원을 위한 식재 식물의 사용과 관련해서는 선정 식물의 다양화와 함께 기후대의 특성을 고려한 식물 선정, 생태복원에 사용하는 식물 규격을 낮추는 접근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습지식물의 경우에는 생태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한 접근이 중요했고, 자생식물 중심의 식물 선정을 위해 재배식물 사용 비율을 최소화하는 것들이 필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plant species i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To this end, planting drawings from 58 sites that had completed the retur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fund for the past six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used the construction completion and design drawings to determine the overall selection status and analyze frequency by classifying planted plants into wild and cultivated plants by nature, size, vegetation climate, and upland and wetland habitat.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process found many cases of wrong plant names, so a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the matter. In the 58 investigation sites, 282 plants were used for planting: 91 tree species, 69 shrub species, 11 vine species, and 111 herbal species. The most commonly used plant species was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followed by Sorbus alnifolia, Quercus acutissima, Zoysia japonica, Callicarpa dichotoma, and Weigela subsessilisin that order. The most commonly used tree species was Sorbus alnifolia,followed by Quercus acutissima, Zelkova serrata, Chionanthus retusus, and Cornus officinalis, in that order. The most commonly used shrub species was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followed by Weigela subsessilis, Callicarpa dichotoma,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and Euonymus alatusin that order.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plant species was Zoysia japonica, followed by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korai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Pennisetum alopecuroidesin that order. In the analysis by vegetation climate,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Callicarpa dichotoma, and Sorbus alnifoliawere most used in that order in both the temperate central and the warm temperate forest zones, but the pattern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climate characteristics. In the analysis by habitat,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Lythrum salicariawere most used in the wetland. In particular, the ratio of wild plants to cultivated plants was 76% to 24%, indicating the ratio of selecting cultivated plants was high. The names of plants on the drawings were mostly common names that did not appear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or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It is necessary to use proper plant names in the future. Regarding the use of planting pla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approach of diversifying selected plants, selecting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climate zones, and lowering the specifications of plants used for ecological restoration. Moreover, it is important to fully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tland plants and minimize the ratio of using cultivated plants to ensure the plant selection centered on wild plant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선행 연구 및 이론 고찰
    1.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2. 생태복원 시 식물 도입 방법 관련 연구
    3. 식물종 선정 및 식생변화 관련 연구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지
    2. 연구 내용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전체 식물종 분석
    2. 성상별 식물종 분석
    3. 식생 기후대별 식물종
    4. 습지 서식처 식물종
    5. 자생식물과 재배식물 식물종
    6. 식물명 오류
REFERENCES
저자
  • 조동길(동아대학교 조경학과) | Dong-gil C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