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R 메타분석
본 연구는 감정코칭 프로그램 효과성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0~2020년까지 11년간 국내에서 출판된 20편의 논문(효과크기 40개)의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효과크기(표준평균차, SMD)는 0.7240이며, 효과크기의 동질성보다는 이질성(Q값에 대한 유의확률 p값=0.0001, I2=89.8%)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랜덤효과모형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하위집단 의 효과크기는 thesis(20) SMD=0.6108과 journal(20) SMD=0.4929로 나타났으며, 동질성 검증 결과는 I2이 50% 이상이지만, Q(=1.09, (d.f.=1), p<0.6943)가 0.01보다 크기 때문에 동질적으로 판단된다. 셋째, 조절변인 분석에서 조절변수 Alpha의 메타회귀식은 QM(df=1)=5.7625, p=0.0164, 회귀계수는 z=2.4005, p=0.016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회기시수(session time)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QM(df=1)=0.9946, p=0.3186). 넷째, 출판편향 분석에서 숲 그림(funnel plot)은 효과 크기 0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편향되어 있었다. 또한 Egger 회귀분석 결과는 bias=3.0142(t=1.81, df=38, p=0.0782)로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출판편향이 있었다. 더하여 Fail-safe N 분석에서 Nfs=1287 로 나타나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trim-and-fill 방법에서 보정값은 7개이며, 보정 전 평균 효과크기 SMD=0.7585이고, 보정 후 평균 효과크기 SMD=0.2818로 바뀌었다. 즉 보정된 연구 7개를 추가하 면, ‘파일 서랍에 묵혀둔 문제’가 해결되어 숲 그림에서 왼쪽 아래쪽에 7개의 효과크기가 채워져 좌 우 대칭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발전된 감정코칭 프로그램의 수행과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 결과의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coaching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20 articles (40 effect sizes)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2010 to 2020. First, the effect size (standard mean difference, SMD) was 0.7240, and it was evaluated as a random effect model because heterogeneity (significance p-value for Q value=0.0001, I2=89.8%) was confirmed rather than the homogeneity of th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subgroups was shown as thesis (20) SMD=0.6108 and journal (20) SMD=0.4929, and the homogeneity test result was more than 50% of I, but Q (=1.09, (d.f.=1), p<0.6943) was evaluated homogeneous because it is greater than 0.01. Third, in the moderator variables analysis, the meta-regression of the moderator variables Alpha is QM (df=1)=5.7625, p=0.0164, regression coeffici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z=2.4005, p=0.0164, but session time did not appear statistically significant (QM (df=1)=0.9946, p=0.3186). Fourth, in the publication bias analysis, the funnel plot was biased to the right based on effect size 0. In addition, the Egger’s regression result was dismissed as bias=3.0142 (t=1.81, df=38, p=0.0782) and there was a publication bias. In addition, the Fail-safe N analysis showed reliability by appearing as Nfs=1287, with seven adjustment values in the trim-and-fill method, the mean effect size before adjustment SMD=0.7585, and the overall effect size SMD=0.2818 after adjustment. In other words, adding seven adjusted studies solved the 'file-drawer problem' and filled the bottom left corner of the forest plot with seven effect sizes to make it symmetrical. Finally, we discussed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conducting and researching advanced emotional coach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