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Effect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on MNC Employees’ Job Engagement: The Moderating Roles of In-group Collectivism and Institutional Collectivism KCI 등재

유연근무제가 다국적기업 직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그룹내 집단주의 문화와 제도적 집단주의 문화의 조절효과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9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가 직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유연근무제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개인-환경 간의 적합성 이론(person-environment fit theory) 을 가반으로 하여, 유연근무제는 직원이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고 개인 생활의 요구를 충족 시키는 지원제도로서 이는 직원이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업무환경에 잘 적응하고 부합하도록 도울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가 직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를 약화 또는 강화시키는 조절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룹내 집단주의 문화와 제도적 집단주의 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보스턴대학의 Sloan센터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Generations of Talent Study” 데이터베이스와 GLOB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미국, 영국, 중국, 인도, 브라질, 일본, 네덜란드, 멕시코와 스페인, 총 9국가에 위치한 다국적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 7,701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유연근무제가 직원의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내 집단주의 문화가 유연근무제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결과가 밝혀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FWAs) on employees’ job engagement. Based on the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FWAs would be expected to help employees fit well in their job environments because they are resources that help employees to achieve a better work-life balance and to better satisfy the needs and demands of their personal lives.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FWAs would increase job engagement.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ultural factors, in-group collectivism and institutional collectivism, to determine whether they moderate the effect that FWAs have on job engagement.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Generations of Talent Study Database compiled by the Sloan Center on Aging and Work at Boston College and the GLOBE database. The total sample was collected from 7,701 employees working in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the US, the UK, China, India, Brazil, Japan, the Netherlands, Mexico and Spain. The resul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FWAs increased job engagement. The result further revealed that in-group collectivism weakened the positive effect of FWAs on job engage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and Hypotheses Development
    2.1 Flexible Work Arrangements
    2.2 The Effect of FWAs on Job Engagement
    2.3 The Moderating Effect of In-group Collectivism
    2.4 The Moder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Collectivism
Ⅲ. Method
    3.1 Data and Sample
    3.2 Measurement
    3.3 Analysis Method
    3.4 Common Method Bias Check
Ⅳ. Results
    4.1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4.2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요 약
저자
  • Mon Yee Hsu(Asia College,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수몬이 Corresponding Author
  • Yong Suhk Pak(School of Business, Yonsei University) | 박용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