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의 돌로마이트 산상과 화학조성 KCI 등재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olomite from Zhenzigou Pb-Zn Deposit,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48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은 중국 동북지역에선 가장 규모가 큰 연-아연 광상 중의 하나로 지체구조상 Jiao Liao Ji belt내 Qingchengzi mineral field에 위치한다. 이 광상의 주변지질은 시생대의 그래뉼라이트 (granulite)와 이를 관입한 고원생대의 미그마타이트질 화강암과 고-중원생대의 소딕(sodic) 화강암을 부정합으로 피복한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 및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의 섬록암과 몬조나이틱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이 광상은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내 Langzishan 층 및 Dashiqiao 층내에서 층상 광체 및 맥상 광체로 산출되며 층준규 제 퇴적분기형 또는 퇴적분기형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들은 산출 광물조합 및 정출순서를 기초로 1)모암인 돌로마이트(D0), 2)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층상 광체내 돌로마이트(백색운모, 석영, 칼리장석, 섬아연석, 방연석, 황철석, 유비철석)(D1) 및 3)석영맥과 함께 산출되는 맥상 광체내 돌로마이트(석영, 인회석, 황철석)(D2)로 산출된다. 이들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은 각각 Ca1.00-1.03Mg0.94-0.98Fe0.00-0.06 As0.00-0.01(CO3)2(D0), Ca0.97-1.16Mg0.32-0.83Fe0.10-0.50Mn0.01-0.12Zn0.00-0.01Pb0.00-0.03As0.00-0.01(CO3)2(D1), Ca1.00-1.01Mg0.85-0.92Fe0.06-0.11 Mn0.01-0.03As0.01(CO3)2(D2)로써 이론적인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보다 미량원소들의 함량이 높다. 특히, 이들 돌 로마이트내 FeO 및 MnO 함량은 각각 0.05∼2.06 wt.%, 0.00∼0.08 wt.%(D0), 3.53∼17.22 wt.%, 0.49∼ 3.71 wt.%(D1) 및 2.32∼3.91 wt.%, 0.43∼0.95 wt.%(D2)로써 층상 광체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1)에서 높은 함량을 갖는다. 또한 다른 미량원소들은 ZnO, As2O5, PbO, Sb2O5 및 HfO2 원소들이 소량 함유되며 단지 층상 광체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1)에서 ZnO 및 PbO 원소들의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난다. 젠지고우 연 -아연 광상의 Do 및 D2는 Ferroan 돌로마이트에 해당되며 D1는 철백운석(ankerite)과 Ferroan 돌로마이트에 해당된다. 따라서 1)모암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0)는 고원생대의 Jiao Liao Ji 분지내 해양증발석호(marine evaporative lagoon) 환경에서 퇴적된 Ferroan 돌로마이트, 2)층상 광체내 돌로마이트(D1)는 고원생대의 화성활동 및 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열수교대작용으로 의한 돌로마이트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철백운석(ankerite) 및 Ferroan 돌로마이트 및 3)맥상 광체내 돌로마이트(D2)는 중생대의 화성활동에 수반된 열수용액에 의해 형성된 Ferroan 돌로마이트이다.

The Zhenzigou Pb-Zn deposit, one of the largest Pb-Zn deposit in the northeast of China, is located at the Qingchengzi mineral field in Jiao Liao Ji belt. The geology of this deposit consists of Archean granulite, Paleoproterozoinc migmatitic granite, Paleo-Mesoproterozoic sodic granite, Paleoproterozoic Liaohe group, Mesozoic diorite and monzoritic granite. The Zhenzigou deposit which is a strata bound SEDEX or SEDEX type deposit occurs as layer ore and vein ore in Langzishan formation and Dashiqiao formation of the Paleoproterozoic Liaohe group. Based on mineral petrography and paragenesis, dolomites from this deposit are classified three type (1. dolomite (D0) as hostrock, 2. dolomite (D1) in layer ore associated with white mica, quartz, K-feldspar, sphalerite, galena, pyrite, arsenopyrite from greenschist facies, 3. dolomite (D2) in vein ore associated with quartz, apatite and pyrite from quartz vein). The structural formulars of dolomites are determined to be Ca1.00-1.03Mg0.94-0.98Fe0.00-0.06As0.00-0.01(CO3)2(D0), Ca0.97-1.16Mg0.32-0.83 Fe0.10-0.50Mn0.01-0.12Zn0.00-0.01Pb0.00-0.03As0.00-0.01(CO3)2(D1), Ca1.00-1.01Mg0.85-0.92Fe0.06-0.11 Mn0.01-0.03As0.01(CO3)2(D2), respectively. It means that dolomites from the Zhenzigou deposit have higher content of trace elements compared to the theoretical composition of dolomite. Feo and MnO contents of these dolomites (D0, D1 and D2) contain 0.05∼2.06 wt.%, 0.00∼0.08 wt.% (D0), 3.53∼17.22 wt.%, 0.49∼3.71 wt.% (D1) and 2.32∼3.91 wt.%, 0.43∼0.95 wt.% (D2), respectively. The dolomite (D1) from layer ore has higher content of these trace elements (FeO, MnO, ZnO and PbO) than dolomite (D0) from hostrock and dolomite (D2) from quartz vein. Dolomites correspond to Ferroan dolomite (D0 and D2), and ankerite and Ferroan dolomite (D1), respectively. Therefore, 1) dolomite (D0) from hostrock is a Ferroan dolomite formed by marine evaporative lagoon environment in Paleoproterozoic Jiao Liao Ji basin. 2) Dolomite (D1) from layer ore is a ankerite and Ferroan dolomite formed by hydrothermal metasomatism origined metamorphism (greenschist facies) associated with Paleoproterozoic intrusion. 3) Dolomte (D2) from quartz vein is a Ferroan dolomite formed by hydrothermal fluid origined Mesozoic intrusion.

목차
요 약
Abstract
서 언
주변지질 및 광상개요
연구 방법
결과 및 토의
    돌로마이트의 산상 및 산출광물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
REFERENCES
저자
  • 유봉철(한국지질자원연구원 DMR 융합연구단/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광물·지하수자원학과) | Bong Chul Yoo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Department of Mineral and Groundwater Resourc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