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거창화강암의 미세균열이 압열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Microcracks in Geochang Granite on Brazilian Tensile Streng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4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거창화강암에서 발달하는 여섯 방향의 결(H2~R1)과 관련된 미세균열의 길이(①), 미세균열의 간격(②) 및 압열인장강도(③)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결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는 위의 세 주요 인자에 대한 18 개의 누적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세 면 및 세 결로 분류한 이들 그래프에 대한 종합 도면을 통하여, 길이, 간격 및 압열인장강도에 대한 28개의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이들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둘째, 위의 파라미터는 세 결 및 세 면 사이의 파라미터 값의 크기에 대한 정렬순서에 따라 여섯 그룹 (I~VI)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I 및 II에 속하는 파라미터의 값은 R(1번 결) <G(2번 결) <H(3번 결) 및 H <G < R의 순이다. 선의 길이(os2, Δs, ΔL 및 oSmean), 지수(λL mean 및 λS mean), 기울기(amean) 그리고 이방성 계수 (Anmean)에 대한 8개의 파라미터의 값은 R <G<H 그리고 H'(3번 면)<G'(2번 면) <R'(1번 면)의 순이다. 셋째, 세 면과 세 결 사이의 분포 형태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세 면에 대한 도면으로부터, 두 적합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ΔL, Δs 및 Δσt의 값은 R' < H' < G'의 순으로 증 가한다. 특히, 길이 및 압열인장강도와 관련된 R2 및 G2의 두 그래프는 서로 거의 평행하며 3번 면의 특성을 보여준다. 압열인장강도와 관련된 그래프 중에서, 3번 면에 대한 전체적인 모양은 2번 결의 전체적인 모양과 유사하다. 세 결에 대한 도면으로부터, 길이와 관련된 그래프의 기울기는 R<G<H의 순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간격과 압열인장강도와 관련된 그래프의 기울기는 R < G <H의 순으로 감소한다. 마지막으로, 여섯 결, 세 면 및 세 결 사이의 변화 특성을 이 연구에서 도출한 상기한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도를 통하여 가시화하였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crack lengths(①), microcrack spacings(②)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s(③) related to the six directions of rock cleavages(H2~R1) in Geochang granite were analyzed. First, the 18 cumulative graphs for the above three major factors represen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s were made. Through the general chart for these graphs classified into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the 28 parameters on the length, spacing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have been determine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se paramet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Second, the above parameter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I~VI) according to the sorting order on the magnitude of parameter values among three rock cleavages and three planes. The values of parameters belonging to group I and II are in order of R(rift) < G(grain) < H(hardway) and H < G < R. The values of the 8 parameters on the length of line(os2, Δs, ΔL and oSmean), the exponent(λL mean and λS mean), the slope(amean) 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Anmean) are in order of R < G < H and H'(hardway plane) < G'(grain plane) < R'(rift plane). Third, the noticeabl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patterns among the six types of charts for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are as follows. From the chart for three planes, the values of ΔL, ΔS and Δσt,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where the two fitting lines meet on the X-axis, increase in the order of R' < H' < G'. In particular, the two graphs of R2 and G2 related to the length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are almost parallel to each other and show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ardway plane. Among the graphs related to the Brazilian tensile strength, the overall shape for hardway plane is similar to that for grain. From the chart for three rock cleavages, the slopes of the graphs related to the length increase in the order of R < G < H, while those of the graphs related to the spacing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decrease in the order of R <G<H.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 among the six rock cleavages, the three planes and the three rock cleavages were visualized through the correlation chart among the above parameters from this study.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미세균열의 분석방법
결의 모식도
전체법에 의한 미세균열의 측정
    길이와 간격
여섯 방향의 압열인장강도
    강도의 측정 및 결과
미세균열의 길이·간격 및 압열인장강도그래프의 종합도
    28개 파라미터의 도출
지수차(λS-λL)와 지수비(λS/λL)
    거창화강암
    합천화강암
    종합
세 유형의 그래프 사이의 배열 특성 비교
    길이의 그래프
    간격의 그래프
    압열인장강도의 그래프
세 면의 그래프 형태
    1번 면(G1, H1)
    2번 면(R1, H2)
    3번 면(R2, G2)
세 결의 그래프 형태
    1번 결(R1, R2)
    2번 결(G1, G2)
    3번 결(H1, H2)
미세균열의 길이·간격 및 압열인장강도의파라미터 사이의 상관성
    총 길이(Lt)-기울기(a), 지수(λL, λS), 이방성 계수(An)
    이방성 계수-기울기
    기울기와 지수(λL, λS)
    기울기, 선의 길이(oL, oS) 및 최대압열인장강도
    지수(λL, λS)와 선의 길이(oL, oS)
    기울기차(Δa)와 지수차(ΔλL, ΔλS)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계수
토 론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덕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Deok-Won Park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