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료의 직무탐색행동이 구성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적 네트워크 행동과 동료성과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CI 등재

The Effect of Colleague's Job Search Behavior on Member Turnover Inten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37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5.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료의 직무탐색행동이 구성원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탐색하고자 한다. 팀 제가 보편적인 조직구조로 확대되면서 조직 내 동료와의 관계가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개인의 태도나 의사결정에 동료의 행동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개인의 이직의도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이직의도가 구성원의 개별적인 의사결정과정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동료와의 관계적 측면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개인의 이직의도가 동료의 이직관련 행동 중 직무탐색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영향력의 정도는 외부 네트워킹 행동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더불어 동료의 직무탐색행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는 동료의 성과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료의 성과수준이 본인과 유사할 때 동료의 직무탐색행동이 본인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강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가설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에 결과를 얻었다. 첫째, 동료의 직무탐 색행동이 개인의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 들의 외부 네트워크 행동은 동료의 직무탐색행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colleague’s job search behavior on other members' turnover intentions. As the team system expands to a universal organizational structur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in the organiza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nd colleagues' actions have a great influence on individual attitudes and decision-making. Previous research on individual turnover intention is usually explained by the individual decision-making process of members, but there are only handful of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relational aspect with colleagues. This study predicted that individual turnover intentions are affected by job search activities of colleague's turnover-related behavior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will vary depending on external networking behaviors of members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a colleague who shows job search behaviors. Specifically, the more external networking behavior is performed, the weaker the effect of colleague’s job search behaviors on one's turnover intention, and the stronger the effect of colleague’s job search behaviors on one's turnover intention when the colleague's performance level is similar to membe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search behavior of colleagu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external network behavior of the memb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at allev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ague's job search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esen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e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1. 동료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2. 동료의 직무탐색행동과 이직의도
    3. 외부 네트워킹 행동의 조절효과
    4. 동료 성과의 조절효과
Ⅲ. 연구 방법
    1. 표본의 선정과 자료 수집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Ⅳ. 분석 결과
    1. 기초 분석
    2. 가설의 검증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저자
  • 전혜지(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Hyeji Chun
  • 조봉순(서강대학교 경영대학) | Bongsoon Cho 교신저자
  • 최장호(서강대학교 경영대학) | Jang-ho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