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나무 현실림의 지위지수별 잠재수확량 예측 KCI 등재

The Estimation of the Potential Yield by Site Index for Pinus Densiflora Fore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지위지수를 기반으로 한 잠재수확량을 예측하여 직관적인 임분 생산력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6~2019년에 실시한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와 2016~2017년에 실시한 전국 소나무 실태조사 (Korea forest service, 2016; Korea forest service, 2017)를 통해 획득된 총 1,610 표본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다. 지위지수 분류곡선과 임분밀도관 리도를 이용하여 각 표본점의 지위 추정 및 기준임령 60년에 대한 생장예측을 실시하여 수확이 예상되는 평균 흉고직경과 임분재적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예측된 재적 수확량은 전체 표본점 중 80.9%가 150~300m3 ha-1의 재적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300m3 ha-1이상의 재적을 수확할 수 있는 표본점은 223개소(13.9%)에 불과하였다. 수확이 예상되는 평균 흉고직경 예측값은 평균 흉고직경 30cm 이상의 목재를 수확할 수 있는 표본점은 전체 20.9%에 불과하였고, 절반 이상인 55.4%가 20~30cm급의 목재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어 현실림의 생장 특성을 반영한 시업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현장에서 지위지수에 따라 잠재수확량을 가늠할 수 있도록 지위지수별 잠재수확량 표를 작성하여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조림적지 평가 및 조림지 경영계획 수립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more intuitive index of stand productivity by predicting the potential yield based on the site index for pine forests in Korea. The analysis data are data from a total of 1,610 sample plots obtained through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conducted from 2016 to 2019 and the National Pine Survey conducted from 2016 to 2017. Using the site index classification curve and the stand density management map, the average DBH and stand volume expected to be harvested in 60 years of the based age were estim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80.9% of the total sample plots were able to harvest 150-300 m3 ha-1, only 223 (13.9%) of the sample plots were able to harvest property of 300 m3 ha-1 or more. Only 20.9% of the sample points were able to harvest wood with an average DBH of 30cm or more, and 55.4%, more than half, were found to be able to harvest wood of 20~30cm, indicating that the market needs to be improved. In addition, a table of potential yields for each site index was prepared and provided so that the potential yield could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site index in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ighly useful in evaluating afforestation sites and establishing management plans for afforestation in the future.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 자료
    2. 통합 지위지수 분류곡선 추정
    3. 소나무림의 잠재수확량 평가
결과 및 고찰
    1. 통합 지위지수 분류곡선 추정
    2. 잠재수확량 평가 과정 및 예측값
    3. 소나무림 잠재수확량 평가
    4. 지위지수별 잠재수확량
References
저자
  • 이상태(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Sang-Tae Lee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박준형(한국산지보전협회) | Joon-Hyung Park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정상훈(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 Sang-Hoon Chung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김형호(경상국립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g-Ho Kim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