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돈분의 퇴적식 퇴비단에서의 송풍방법에 따른 퇴비화 효과 KCI 등재

Effect of Different Aeration Methods on Pig Manure Aerated Static Compost Pi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8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초록

농가에서 수거한 돈분뇨 고형물을 원료로 하여 퇴비단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방법을 4 가지(T1, T2, T3, T4)로 구분하여 33일 동안 퇴비화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처리형태별 각 퇴비단의 온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송풍을 실시한 퇴비단 T1의 온도는 퇴비화 개시 직후부터 급격하게 상승하여 퇴비화 1일 이내에 65oC까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송풍 처리구간의 온도변화 곡선을 보면 공기 배출통 로를 설치한 처리구 T3, T4가 단순 송풍구 T2에 비해 퇴비단의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2. 퇴비단의 pH는 전체 처리구 모두에서 퇴비화 초기 단계에서는 pH 수준이 약간 낮아지다가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3. 실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처리구별 퇴비의 수분함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감소 정도는 T1, T2, T3, T4 모두 다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4. 퇴비중의 VS 함량은 전체 처리구 모두에서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VS 감소 정도는 T1과 T2에 비해 T3와 T4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T1과 T2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5. 퇴비화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EC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T4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6. 송풍조건에 따른 각 처리구별 종자발아 지수는 T2와 T3에 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T1과 T4는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 났다. 7. 송풍조건에 따른 각 처리구별 부숙도는 전체 처리구 모두에서 퇴비화 개시 후 9일 이후부터는 부숙이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숙도는 T2와 T3에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T1과 T4는 상대적으로 더 늦게 부숙 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 발아지수를 기준으로 할 때는 T2와 T3 처리구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With the recent increased interest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s an environment friendly organic alternative to fertilizers, the Korea government is strengthening the livestock manure compost quality control system. In this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aeration methods on the quality of pig manure was evaluated by varying the aeration methods for different compost piles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their characteristics. For the composting experiment, four compost piles with a volume of 4 m3 were prepared. The four experimental compost piles included one anoxic compost pile (T1), one aerobic compost pile (T2), and two aerobic compost piles with exhaust holes on the surface (T3, T4).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of the compost pile and the area of the exhaust hole in T3 was 200.6 (630 cm2: 3,14 cm2) and that of T4 was 100.3 (315 cm2 : 3,14 cm2).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each compost pile was set at 100 L per minute per 1 m3 of the compost pile.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the ambient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0±5oC. The temperature of the compost piles rose rapidly after the start of the composting process.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compost piles was 70oC. The temperature of the compost piles T2, T3, and T4 gradually decreased to the level of the ambient temperature (on the 9th day after starting composting) after reaching the highest temperature. The pH of the compost piles decreased slightly at the beginning of the composting process and then increased again and maintained at approximately 8.55. The VS content of all the compost piles decreased as the composting process progressed. The degree of VS reduction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T3 and T4 than in T1 and T2 piles. And the degree of VS reduction in T1 and T2 was similar. Based on the seed germination index analysis for each compost pile, T2 and T3 were better than T1 and T4, the highest seed germination index is shown in T2. The time point at which the maturity of all the compost piles reached a completed state was the 9th day from the start of the composting.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퇴비단 온도
    퇴비단 pH
    퇴비단 수분함량
    퇴비단 휘발성고형물(VS)함량
    퇴비단 전기전도도(EC)변화
    퇴비단의 부숙도 및 종자 발아지수
적 요
REFERENCES
저자
  • 박회만(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oe-Man Park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NIAS), RDA)
  • 정광화(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Kwang-Hwa Jeong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NIAS), RDA) Corresponding author
  • 이동준(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Dong-jun Le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NIAS), RDA)
  • 이동현(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Dong-Hyun Le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NIAS), RDA)
  • 김중곤(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Jung-kon Kim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NIA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