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류양식장 이전 후 저서다모류 군집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fter Fish Farm Relocati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9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류가두리양식장 시설의 재배치 이후 기존 양식장 아래 퇴적물의 회복상태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 여 양식장 아래 퇴적물과 저서다모류 군집 조사를 수행하였다. 양식장 철거 이전인 2017년 10월에 사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양식장 철 거 이후인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는 매달, 이후 2020년 10월까지는 2 ~ 3달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정점은 철거된 양식장 위 치에 3개 정점(Farm1 ~ 3)과 양식시설물이 없는 주변 해역에 3개의 대조 정점(Con1 ~ 3)으로 선정하였다. 사전 조사에서 기존 양식장의 총유 기탄소(평균 22.67 mg․g-1 dry weight)는 대조 정점(평균 13.68 mg․g-1 dry weight)보다 높았으나, 양식장 철거 이후 점차 감소하여 약 1년 이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저서다모류 군집은 여름철 기존 정점에서 무생물 군집이 출현하였으며, 무생물 시기 이후 오염지시종인 Capitella capitata 단일종이 극우점하는 낮은 다양도의 군집으로 천이하였다. 다음해 여름철 무생물 시기 이전까지 종다양도가 증가하고 오염지시종의 비율이 감소하여 저서다모류 군집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매년 반복되었다. 연구 지역은 양식장 아래의 지형학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매년 무생물 군집이 출현하고 있으나, 조사가 진행될수록 무생물 발생 기간은 짧아지고, 군집이 회복되는 과정은 빠르게 진행되었다. 어류 양식장의 이전 후 기존 양식장 정점의 퇴적물은 생물학적인 회복이 여전히 진행 중이며,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회복의 경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diment recovery after the relocation of fish cage farms, by examining the changes in sediments and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 preliminary survey was carried out in October 2017, before the relocation of the farms, and monthly survey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 2017 to October 2018 after the farms were moved. Subsequently, it was conducted every 2-3 months until October 2020. The survey was carried out at three stations (Farm1-3) at the location of the removed fish farms and at three control stations (Con1-3) without farms. The overall organic carbon content of the farm station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stations, but it gradually decreased after the farm was demolished,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one year after the relocation of the farms (p<0.05). In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biotic community appeared at the farm stations in the summer, and consequently, the community transitioned to a low-diversity region with the predominant species Capitella capitata, which is an indicator of pollution. Until the abiotic period in the summer of the next year, the species diversity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indicator species decreased, showing a tendency of recovering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nd these changes were repeated every year. In this study, the abiotic community appeared every year owing to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but as the survey progressed, the period of abiotic occurrence became shorter and the process of community recovery progressed expeditiously. Biological recovery of sediments after the relocation of the fish farms is still in progress, and it is imperative to study recovery trend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 지역
    2.2 퇴적물 유기물 분석 및 저서동물 분석
    2.3 자료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총유기탄소량 변화
    3.2 저서다모류 군집의 생태지수 변화
    3.3 저서다모류 우점종의 변화
    3.4 어장환경평가 적용
    3.5 저서다모류 군집구조의 시·공간 변화
    3.6 저서동물 분석을 통한 양식장 환경의 회복성 진단
저자
  • 박소현(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연구원) | Sohyun Park (Research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Korea)
  • 김선영(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연구원) | Sunyoung Kim (Research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Korea)
  • 심보람(국립수산과학원 자원환경과 연구사) | Bo-Ram Sim (Senior Researcher, Fisheries Resources and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Incheon, Korea)
  • 박세진(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연구원) | Se-jin Park (Research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Korea)
  • 김형철(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과 연구사) | Hyung Chul Kim (Senior Researcher,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ning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Korea)
  • 윤상필(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연구사) | Sang-Pil Yoon (Senior Research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