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홍삼박, 무기물® 및 흑설탕® 첨가 급여가 Holstein 거세 비육우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Red Ginseng Marc, Mineral and Black Sugar® Supplementation on the Production of Holstein Steers (Bos taur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0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실험은 Holstein 비육후기에 홍삼박, 광물질 및 설탕을 첨 가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일당증체량, 육질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로서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급여하지 않는 처리구를 대조구(C), 홍삼박 200g 첨가 급여 구는 T1, 홍삼박 100g과 광물질 50g 첨가 급여구는 T2 그리고 광물질 50g과 흑설탕 20g 첨가 급여한 구를 T3 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총 사료섭취량 및 1일 채식량은 T2 및 T3구가 C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채식량 이 많았던 T2 및 T3구에서 총 증체량 및 일당 증체량이 높게 나 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C구가 다른 구 (T1, T2, T3)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p<0.05), T1, T2 및 T3 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두께, 등심단 면적 및 육량등급은 처리구 상호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근내 지방은 T3(4.5) > T1(4.0) > T2(2.7) > C(2.5)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질등급은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T3 > T1 > T2 > C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경제적 조수익성은 T3 > T1 > T2 > C구순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합사료와 조사료 만 급여하는 체계(C) 보다는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첨가 급여(T1,T2, T3)하는 체계가 도체등급 및 수익성 증대에 유리하며, 특히 증체량, 육질등급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T3구가 가장 좋은 급여체계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etary addition of red ginseng marc, mineral® and black sugar® on the dry matter intake, daily gain, yield grade and quality grade of Holstein steers(Bos taurus). A total of 32 fattening Holstein steers(avg. BW 590kg)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which included a control diet(mixed concentrate and forage; namely, C) and three treatments diet(T1; control diet+red ginseng marc 200g, T2; control diet+red ginseng marc 100g+mineral 50g, T3; control diet+mineral 50g+ black sugar 20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feed intake and daily feed intake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2 and T3 than in the other two treatments(C and T1). The daily gain was higher in T2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back fat thickness, longissimus muscle area and meat yield grad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arbling score showed significantly(p<0.05) higher in order of T3(4.5) > T1(4.0) > T2(2.7) > C(2.5). The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quality grade was higher in T3 than in the other treatments(C, T1 and T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3, which numerically had a higher daily gain and carcass quality grade, showed higher economic efficiency, whereas C showed low economic efficien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3 treatment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improved the daily gain, carcass quality grade and economic efficienc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1. 실험기간 및 장소
    2. 공시가축 체중
    3. 실험설계
    4. 실험사료 성분
    5. 사양관리
    6. 조사방법
    7. 통계처리
Ⅲ. 결과 및 고찰
    1. 사료 채식량 및 증체량
    2. 육량과 육질
    3. 조수익성 분석
Ⅳ. 요약
Ⅴ. REFERENCES
저자
  • 이상무(경북대학교 축산BT학부) | Sang Moo Le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