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chemical fertilizer (CF) and liquid swine manure (LSM) in the paddy field cultiv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five treatments and three replications. The manure fertilizer ratio of five treatments were CF 100% (T1), CF 70% + LSM 30% (T2), CF 50% + LSM 50% (T3), CF 30% + LSM 70% (T4), and LSM 100% (T5) of whole crop barley.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was based solely on the nitrogen. Plant length was higher at T1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2, T3, T4 and T5).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otal digestive nutrients (TDN) yield were the highest in T1, whereas the lowest in T5 treatment (p<0.05). Chemical compositions (crude protein, crude fat, neutral detergent fiber, acid detergent fiber and TD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Ca and Na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T1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2, T3, T4 and T5). However, Mg and P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1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ree sugar content among T2, T3, T4 and T5 treatments, but the chemical fertilizer (T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treatments (p<0.01).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liquid swine manure application showed lower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than chemical fertilizer, but higher free sugar cont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whole crop barley,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mix liquid fertilizer with chemical fertilizer, taking into account the decomposition rate and insufficient components (P, K) of the liquid swine manure.
        4,000원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논 토양에서 호밀 재배시 화학비료와 발효 돈분 액 비 혼용 시용이 생육특성 및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화학비료 100% 처리구(C), 화학비료 70% +돈분액비 30% 처리구(T1), 화학비료 50% +돈분액비 50%처리구(T2), 화학비료 30% +돈분액비 70% 처리구(T3) 그리고 돈분액비 100% 처리구(T4)로 한, 5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 하였다. 이때 돈분 액비 시용은 질소량만을 기준으로 하였다. 초 장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삭길이, 엽장 및 엽폭은 각각 C, T3 및 T2구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p<0.05). 경의 굵기는 T4 > T3 > T2 > T1 > C구 순으로 돈분 액비 시용량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수량 및 TDN 수량은 T4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C구가 가장 낮게 나 타났다(p<0.05). 조단백질, NDF, ADF 및 조섬유 함량에서는 처 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에 있어서는 각각 T2 및 T3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총무기물 함량은 돈분액비 시용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 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총 유리당 함량은 돈분액 비 시용 비율이 높았던 T3 및 T4구가 높게 나타난 반면 화학비료 처리구(C) 및 돈분액비 시용 비율이 낮은 구(T1)에서는 낮게 나 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량성(건물수량, TDN수량)과 사일리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리당을 고려한다 면 화학비료와 돈분액비 혼용하거나 돈분액비를 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4,0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Holstein 비육후기에 홍삼박, 광물질 및 설탕을 첨 가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일당증체량, 육질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로서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급여하지 않는 처리구를 대조구(C), 홍삼박 200g 첨가 급여 구는 T1, 홍삼박 100g과 광물질 50g 첨가 급여구는 T2 그리고 광물질 50g과 흑설탕 20g 첨가 급여한 구를 T3 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총 사료섭취량 및 1일 채식량은 T2 및 T3구가 C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채식량 이 많았던 T2 및 T3구에서 총 증체량 및 일당 증체량이 높게 나 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C구가 다른 구 (T1, T2, T3)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p<0.05), T1, T2 및 T3 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두께, 등심단 면적 및 육량등급은 처리구 상호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근내 지방은 T3(4.5) > T1(4.0) > T2(2.7) > C(2.5)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질등급은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T3 > T1 > T2 > C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경제적 조수익성은 T3 > T1 > T2 > C구순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합사료와 조사료 만 급여하는 체계(C) 보다는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첨가 급여(T1,T2, T3)하는 체계가 도체등급 및 수익성 증대에 유리하며, 특히 증체량, 육질등급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T3구가 가장 좋은 급여체계로 나타났다.
        4,000원
        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Holstein 거세 비육우의 성장 단계에 따른 채식 및 반추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 Holstein 거세우는 육성 단계(T1), 비육전기 단계(T2) 그리고 비육 후기 단계(T3)을 각각 3두씩, 총 9두를 3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사료급여는 농후사료 체중의 1.62%, 조사료는 자유 채식시킨 후 육안으로 48시간 채식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다. 체중대비 건물섭취량은 T1구(2.21%) 가장 높게 T3구 (1.39%)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채식시간은 T1, 반추시간은 T2 그리고 휴식시간은 T3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0.01). 저작 시간은 T1 및 T2구에 비하여 T3구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식괴수와 총 저작수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T2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그러나 식괴 당 저작수 및 분 당 식괴수는 T1구가 높게 나타났지만 상호 처리간 유의적인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다. 음수 회수 및 배분 회수는 처리 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뇨 회수는 어린 단 계인 T1 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음수 시간, 배분시간, 배뇨시간은 T1 구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개체 차이가 심하여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육후기 단계(T3)는 육성(T1) 및 비육전기(T2)비하여 체중대비 채식량이 낮음에 따라 채식시간 반추시간은 줄어들고 휴식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3구는 총 식괴수 및 총 저작수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for silage according to the drainage depths in the paddy field of lowl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four treatments and three replication. The drainage depths of four treatments were 0cm, 20cm, 40cm and 60cm, respectively.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numb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leaf width increased as the higher the drainage depth(p<0.05). The number of dead leaf was higher in the order of 60cm > 0cm ≥ 40cm ≥ 20cm treatment(p<0.05). Green degree was higher in the order of 20cm > 40cm > 0cm > 60cm treatment(p<0.05). Stem diameter and stem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as drainage depth increased from 0cm to 60cm(p<0.05). Also, fresh yield,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increased as the higher the drainage depth(p<0.05). Crude protein and TDN content were the highest in 40cm treatment(p<0.05). Crude ash was higher in the order of 20cm > 40cm > 0cm > 60cm treatment(p<0.05). ADF and NDF content were the highest in 0cm treatment(p<0.05). Total mineral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20cm > 0cm > 40cm > 60cm(p<0.05). Free sugar content(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as the highest in 0cm treatment(p<0.05). Total amino acid(EAA+NEAA) was higher in 40cm than the other treatments(p<0.05).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ingredients(crude protein, TDN, mineral, free sugar and amino acid) according to the treatments. But considering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Sorghum×Sudangrass hybrid cultivation is advantageous to set the drainage depth of about 60cm in the paddy field of lowland.
        4,000원
        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winter forage crops cultivated after rice harvest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4 species (Rye, Oat, Triticale and Italian ryegrass), and varieties were “Marton”, “Donghan”, “Shinyoung” and “Kowinnearly”, respectively. As a result, dry matter yield and TDN yield were higher in rye than in the other winter forage crops, and lowest in Oat(p<0.05). Crude protein and crude fat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talian ryegrass(p<0.05). However, Crude ash and ADF cont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winter forage crops. NDF content was higher in order of Rye > Triticale > Oat > Italian ryegrass(p<0.05). TDN and total amino acid content (EAA+NEAA) were higher in order of winter forage crop with high crude protein content (Italian ryegrass > Oat > Triticale > Rye). Total mineral content was higher in order of Rye > Triticale > Oat > Italian ryegrass(p<0.05), and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order of Oat > Italian Ryegrass > Triticale > Rye(p<0.05). Compared with the results above, Italian ryegrass and Oat are high in crude protein, TDN, amino acid and free sugar content. Rye and Triticale have the merit that feed value is decreased but high yield(dry matter and TDN yield) can be maintained.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grow Rye and Triticale as winter forage crops after rice harvest in the central inland region.
        4,000원
        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eding dates and cultivated period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Teosinte new variety “Geukdong 6”〔Zea mays L. subsp. mexicana (Schrad.) H. H. Iltis〕for fe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reatments consisted of five time seeding dates, 10 May(T1), 25 May(T2), 10 June(T3), 25 June(T4) and 10 July(T5), and same time harvesting, 22 October. Therefore, growing period were 164 days(T1), 149 days(T2), 134 days(T3), 119 days(T4) and 103 days(T5), respectively. In growth stage at harvest time, T1, T2, T3, T4 and T5 were early flowering, end heading, middle heading, early heading and early heading stage, respectively. Plant length and dead leaf were highest in T1, but leaf width and number of leaf were highest in T2 than others (p<0.05). Leaf length, stem diameter and number of till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p<0.05). Stem hardness was higher in order of T1(2.0)> T2(1.9) > T3=T4(1.7) > T5(1.2kg/cm2). Fresh yield and dry matter yiel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s the sowing time was faster and the cultivation period was longer (T1 > T2 > T3 > T4 > T5, p<0.05). Crude protein, crude fat and TDN content were highest in T5, but ADF and NDF content were highest in T1 than others (p<0.05). T1, T2 and T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rude protein yield compared to T4 and T5 (p<0.05). Total digestible nutrients yield were higher in order of T1 > T2 > T3 > T4 > T5 (p<0.05), and relative feed value were higher in order of T5 > T4 > T3 > T2 > T1 (p<0.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seeding dates could be recommended from the early May to the late May, and it is efficient that the cultivation period is over 150 days for dry matter yield, crude protein yield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yield.
        4,000원
        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irtual reality is one of the most popular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suggest that virtua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existing training. Development of virtual trolley simulation content was done through Unreal Engine. Through the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we had developed a more advanced simulation development environment.
        4,000원
        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arativ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yield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harvested in a paddy fiel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seven Italian ryegrass cultivars (Kogreen, Kowinmaster, Hwasan 101, Kowinnearly, Kospeed, Sahalie select, and Strike). The planting date was October 21, 2009 and the sample harvest was occurred on May 21, 2010. Dry matter yield was higher in Kowinnerary and Kogreen than in the other varieties (p<0.05).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contents were highest in Hwasan 101 and lowest in Kospeed. The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did not differ among the Italian ryegrass varieties. The amino acid contents were in the order Hwasan 101 > Strike > Kowinnearly > Kogreen > Sahalie select > Kospeed > Kowinnearly (p<0.05). Fructose content was highest in Kospeed, while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were highest in Hwasan 1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Kowinnearly, in terms of dry matter yield, and Hwasan 101, in terms of feed value (chemical composition and free sugar content), may be recommended for forage production in a paddy field.
        4,000원
        1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newly developed domestic teosinte (Geukdong 6) compared to widely cultivated silage corn hybrid (31N27) and sorghum × sudangrass hybrid (P877F). Geukdong 6, a new single cross (Teosinte × Suwon 19) variety, is a teosinte (Zea may L. ssp. maxicana) developed by the Geukdong 6 of agricultural company corporation (GACC) in An-dong province. This field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nd consisted of silage corn (T1), sorghum x sudangrass hybrid (T2) and Geukdong 6 (T3). Leaf length, number of leaves, number of tillers and fresh yield of T3 were higher than that of T1 and T2 (p<0.05). Dry matter yield of T3 was lower than that of T1 (p<0.05). In particular, T3 (0.1 kg/cm2) showed to be very tender compared to other T1 (0.5 kg/cm2) and T2 (0.5 kg/cm2), (p<0.05).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3 as 8.25% was higher than that of T2 (5.90%),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1 (8.14%). The brix degree of T2 was higher than that of T1 and T3 (p<0.05). T3 showed higher content of total minerals compared to T1 and T2 (p<0.05). The relative palatability of T3 was higher than T1 and T2 (p<0.05), when fed to deer as soiling crop. However, it showed a lower than T1 in Korean native cattle and korean native goats. The relative palatability of the silage shown in order of T1> T3> T2 in korean native cattle, spotted deer, and korean native goat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Geukdong 6 (T3) could be recommended as using of soiling and lab silage, when high fresh yield, tender stem, number of many leaf, content of high crude protein, and palatability higher than sorghum × sudangrass hybrid were considered.
        4,000원
        1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pregnancy stages on the eating and ruminating behavior of Hanwoo heifers (Bos taurus coreanae). A total of twelve Hanwoo heif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pregnancy stage: C: before pregnancy, 9 months old, T1: 3 months pregnant, 16 months old, T2: 6 months pregnant, 19 months old, T3: 9 months pregnant, 22 months old (3 replicates per group). Concentrate of 1% of the body weight was fed to them. Roughage was provided at ad libitum to all treatments.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intake of roughage was the highest in the T3 group (at 3.68 kg) and the lowest in the C group (at 1.02 kg, p<0.05). Total intake in the order from high to low was: T3 > T2 > T1 > C (p<0.05). The rate of dry matter intake compared to body weight (DMI/BW, %) from high to low order was: T3 > T2 > T1 > C (p<0.05). Eating time, ruminating time, and chewing time were the highest in T3 group (p<0.05). Resting time was the highest in C group (p<0.05). The number of bolus and the number of total chew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3 compared to those in other groups. However, ruminating time per bol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groups. The number of chews per bolus from high to low order was: C > T1 > T3 > T2 (p<0.05). The number of bolus per minu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The number of drinking and the number of defecat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 and T1, respectively (p<0.05). However, the number of urinating had no effect according to pregnancy stage. Eating rate and chewing efficie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accordance with pregnancy stage (T3 > T2 > T1 > C). Ruminating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1 than that in other groups.
        4,000원
        1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논 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수수 × 수수 교잡종 재배시 화학비료와 발효 돈분 액비 혼용 시용이 생육특성 및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실 험설계는 화학비료 100% 처리구 (C), 화학비료 70% + 돈분 액비 30% 처리구 (T1), 화학비료 50% + 돈분액비 50% 처 리구 (T2), 화학비료 30% + 돈분액비 70% 처리구 (T3) 그리 고 돈분액비 100% 처리구 (T4)로 한, 5처리 3반복 난괴법 으로 배치하였다. 이때 돈분 액비 시용은 질소량만을 기준 으로 하였다 (150 kg/ha). 초장, 엽장, 엽폭 그리고 경의 굵 기는 T4구가 유의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p<0.05). 경의 경 도는 돈분액비 시용 비율 낮고 화학비료 시용 비율이 높을 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생초수량은 T2구가 높았던 반면 T3구가 낮게 나타났다 (p<0.05). 그러나 건물 수량 및 TDN 수량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T1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높 게 나타났다 (p<0.05). 조지방 함량은 T1, T2, T3 그리고 T4 처리구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C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NDF와 조섬유 함량은 각각 T3구와 C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그러나 ADF 함량은 처리구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무기물 함량은 T1 > T2 > T4 > T3 > C 구 순으로 높게 나 타났다 (p<0.05). 유리당 함량은 T1과 C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돈분액비 시용은 화학비료에 비하여 수량성, 영양성분에 크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일지용 수수 × 수수 교잡종 재배시 돈분액비와 화학비료를 혼용 시용 하 거나 돈분액비 만 시용하여도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파종 한 후 배수로 깊이를 0 cm, 20 cm, 30 cm 그리고 50 cm로 처리하고 이에 따른 생육특성, 생산성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초장, 엽장, 엽폭, 착수고 및 하고엽은 배수로 깊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알곡 충실도, 암이삭 길이 및 암이삭 둘레는 배수로 깊이가 깊을수록 유의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경의 굵기 및 경경도는 처리구들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에 있어서는 0 cm > 20 cm > 30 cm > 50 cm 구순으로 배수로 깊이가 낮을수록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생초수량, 건물수량 및 TDN 수량은 배수로 깊이가 깊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조단백질함량은 50 cm구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0 cm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지방, NDF, ADF 및 조섬유 함량은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회분 함량은 50 cm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총무기물함량은 0 cm (5,690.14) > 30 cm(5,397.02) > 20 cm (4,853.21) > 50 cm구(4,660.18 mg / 100 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유리당 함량은 20 cm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50 cm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p<0.05), 0 cm, 20 cm 및 30 cm 처리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지대 논 토양에서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배수로 깊이를 30 cm 이상을 확보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 재활용가금깔개, 미강 및 straw로 구성되는 BF 사일리지 급여가 육성 거세한우의 행 동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 험에 사용한 공시 한우는 11개월령 총 10두(평균 301.7 kg) 를 2처리로 배치하였으며, 이 때 대조구(볏짚 자유채식)와 처리구(BF silage 자유채식)로 하여 48시간 행동관찰을 실 시하였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총 DM 섭취량과 NDF 섭취량이 각각 30% 및 36% 높았고, 채식시간, 반추시간 및 저작시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 다. 식괴수, 식괴당 반추시간에 있어서도 유의적 차이가 없 었고, 식괴당 저작수와 FVI는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배뇨 회수가 높 고(p<0.05), 음수 및 배분 회수에 있어서는 상호간에 차이 가 없었고,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에 있어서는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BF 사일리지 급여는 볏짚과 비교 시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 상 큰 차 이가 없다는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차후 볏짚 대용으로 활 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즉 입자도가 큰 straw를 peNDF를 충족시키는 최소량을 혼합하여 부산물사료 사일 리지를 제조, 급여하였을 때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은 볏짚 급여 시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청보리 품종을 논토양에 재배한 후, 생육특성, 화학적 특성, 무기물함량및 영양수량을 검토하여 사료적 가치를 파악하고 이용에유리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5품종(유연, 영양, 우호, 다미, 소만)을 3반복으로 하여 2009년 10월 21일 파종하고 이듬해 5월 21일 전 품종이 유숙기에 도달하였을 때 수확하였다. 건물수량은 영양과 다미가 높게 나타난 반면 유연이 낮은 생산량을 나타냈다(p<0.05). 일반성분에 있어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ADF 및 TDN 함량은 품종들 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않았다. 그러나 조섬유 함량은 다미(36.0%)가 가장 높게,영양(31.4%)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NDF 함량은 우호 > 다미 > 소만 > 유연 > 영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무기물 함량은 영양 > 우호 > 다미 > 소만 > 유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우호 > 영양 > 소만 > 유연 > 다미 순으로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적이 차이는 없었다.영양수량에 있어서 조단백질 생산량은 우호가 가장 높게(p<0.05), 무기물, 구성이미노산, 유리당 및 TDN 수량은 영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영양과 우호 품종이 생산성 및 사료가치가 우수한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비육에 있어서 조사료원이 볏짚 단용인 경우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체중변화,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비육 흑염소 40두를 공시하여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의 1.5% (T1), 2.0% (T2, 농가관행), 2.5% (T3) 및 자유채식구(T4)로 나누어 급여 하였고 조사료는 볏짚을 자유채식 시켰으며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볏짚인 조사료 섭취량은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은 체중대비 농후사료 급여수준 1.5, 2.0, 2.5% 및 자유채식구가각각 22, 50, 69 및 94 g으로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5). 비육 흑염소의 도체율은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비 1.5, 2.0, 2.5% 및 자유채식 시켰을 때 각각 41.77, 42.78, 46.12 및 49.78%로농후사료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p<0.05), 지방률도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농후사료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소득은 증가하였으며, 자유채식구가 두당 34,270원으로 가장 소득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조사료 자원이 볏짚 단용일 경우 비육 흑염소의 농후사료 급여 수준은자유채식 시키는 것이 사료이용성, 발육, 도체율 및 경제성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며, 흑염소의 비육을 위한 조사료 자원으로서볏짚 단용은 농후사료비의 가중을 가져오므로앞으로는 흑염소 비육을 위한 새로운 조사료자원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4,000원
        2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파종 한 후 7엽기, 8엽기, 9엽기 및 10엽기에 각각 배토작업을 실시하여 무배토 처리구와 생육특성, 수량성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여 배토 효과 및 배토처리 시기에 따른 증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배토처리구들(T1, T2, T3 및 T4)은 무배토구(C)에 비하여 건물수량,TDN 수량이 증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1), 배토시기(T1, T2, T3 및 T4)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배토구들은 무배토구에 비하여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고 NDF 함량은 떨어지는 것으로나타났다(p<0.01). 무기물 및 구성아미노산 함량에 있어서도 무배토구에 비하여 배토를 실시한 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p<0.01). 그러나 무기물에 있어서는 배토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구성아미노산에있어서는 7엽기에 배토를 실시한 T1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건물수량, TDN수량, 단백질함량,무기물함량 및 구성아미노산 함량을 종합해 볼때, 무배토에 비하여 배토처리가 증수효과가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배토시기에 있어서는 10엽기에 배토를 실시한 T4구가 가장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