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PO 기반 음이온 교환막 소재 개발 동향 KCI 등재

A Review on Development of PPO-based Anion Exchange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0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음이온 교환막은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전해와 수소 연료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 교환막은 알칼라인 조건에서 수산화 이온(OH-) 전도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음이온 교환막은 상대적으로 낮은 이온 전도도와 알칼라인 안정성을 보이기 때문에 아직 수전해 및 연료전지에 상용화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구조를 합리적으로 설계하여 새로운 음이온 교환막 소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고분자의 물성, 이온전도도, 그리고 알칼라인 안정성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분자 구조 및 합성 방법 등을 제어하여 한다. 음이온 교환막 중에서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 기반의 소재는 상용화 되어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다른 고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계적인 특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 음이온 교환막 개발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음이온 교환막에서 사용되는 PPO 기반의 고분자 소재 개발 전략 및 특성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Anion exchange membranes have been used for water electrolysis, which can produce hydrogen, and fuel cells, which can generate electrical energy using hydrogen fuel. Anion exchange membranes operate based on hydroxide ion (OH-) conduction under alkaline conditions. However, since the anion exchange membrane shows relatively low ion conductivity and alkaline stability, there is still a limit to its commercialization in water electrolysis and fuel cells. To address these issu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novel anion exchange membrane materials by rationally designing a polymer structure. In particular, the polymer structure and synthetic method need to be controlled. By doing so, for polymers, the physical properties, ionic conductivity, and alkaline stability can be maintained. Among many anion exchange membranes,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easily accessible. In addition, the PPO has relatively high mechanical and chemical stability compared to other polymers.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he recent development strategy and characteristics of PPO-based polymer materials used in anion exchange membrane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음이온 교환막 메커니즘
3. PPO 기반 음이온 교환막의 연구 동향
    3.1. 직접 부착을 통한 PPO 기반 음이온 교환막
    3.2. 간단한 개질을 통한 PPO 기반 음이온 교환막
    3.3. 다양한 고분자 합성 방법을 통한 PPO 기반음이온 교환막
    3.4. 첨가제 도입을 활용한 PPO 기반 음이온 교환막
4. 결 론
Reference
저자
  • 안성진(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 Seong Jin An (School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기중(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 Ki Jung Kim (School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유소미(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 Somi Yu (School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류건영(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대학원) | Gun Young Ryu (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지원석(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대학원) | Won Seok Chi (School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