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빌리티에 대한 COVID-19의 차별적 영향 KCI 등재

The Differential Effect of COVID-19 on Mo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208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1.21.3.0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COVID-19 팬데믹의 장기화는 우리 사회의 많은 것을 변화시켰으며, 특히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정책적 개입인 사회적 거리두기는 사회 구성원의 모빌리티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관점에서 모빌리티에 대한 COVID-19의 차별적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를 사례로 하여 2019년 대비 2020년의 월별 대중교통 승차 모빌리티 변동률에 대해 공간통계기법을 적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 및 군집 분석을 통해 서울에서 COVID-19의 영향이 적었던 2020년 1~2월 이후 서울 중심부에서 모빌리티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점차 모빌리티 변화의 정적인 공간적 자기상관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상관분석 및 공간회귀분석을 통하여 모빌리티 변화와 지속적으로 연관되고 영향을 주는 특정 연령, 직업, 소득 변수들을 확인하였다. COVID-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 모빌리티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many things in our society, and in particular, social distancing, a policy interven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has led to a change in mobility of members of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 of COVID-19 on mobility from a spatial perspective. For this, this study applied spatial statistics to the change rate of monthly public transportation transit of Seoul city in 2020 compared to 2019.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mobilit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enter of Seoul, since 2020 January and February when the impact of COVID-19 was weak, and that the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of mobility changes gradually increased. Second, specific age, job, and income variables that are continuously related to and influencing mobility change were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d spatial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 that policy interven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has differentially affected mobilit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alleviate inequality in the post-coronavirus era.

목차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II. 연구 방법
    1. 연구지역 및 변수 선정
    2. 분석 방법
III. 분석 결과
    1. 모빌리티의 공간적 자기상관
    2. 모빌리티 변화와 변수 간 상관관계
    3. 모빌리티 변화에 대한 공간회귀분석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하은혜(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석사과정) | Eunhye Ha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채현(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석사과정) | Chaehyeon Lee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고민경(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 Minkyung Koh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감영(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 Kamyo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