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생 때 독서 습관이 중학생 때의 독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Reading Habi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Reading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2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시기의 독서선호도와 독서습관이 중학생의 독서 행동에 각각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독서량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독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초등학교 6학년 시절의 독서습관과 독서선호도를 조사한 후,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6주 동안 매주 1회 독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20분 이상 독서한 날 수와 독서 시간을 분 단위로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참가자의 초등학교 6학년 시절 75% 이상이 일주일에 1권의 책을 보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책을 많이 읽는 것과 좋아하는 것은 다른 차원의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 중 책을 좋아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책을 거의 읽지 않는 사람이 약 35%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시기에 형성된 독서 선호도보다 독서 습관이 중학생의 독서한 날수와 독서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더 강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초등학생 때 독서 습관이 높은 수준으로 형성된 중학생은 중학생이 돼서도책을 자주 읽고 독서에 더 오랜 시간 집중하지만, 독서 습관이 낮은 수준으로 형성된 경우 중학생이 돼서도 책을 읽지 않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독서에 대한 주관적 태도와 실제로 책을 읽는 행동은 전혀 다른 문제임을 보여준다

Becaus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activities for growing children is so great, the importance of reading cannot be overemphasized. While the reading volum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is very high, as they go up to middle school, the reading volume falls rapidly. This study examined a more effective way to resolve this middle school reduction in reading volume. Middle school freshmen were surveyed on their reading habits and preferences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fter which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averages; groups with high/low reading habits and groups with high/low reading preferences). Participants also wrote reading reports for six weeks, kept a record of the days of the week they read for more than 20 minutes, and noted down the time they read in minutes. It was found that 75% of participants did not read one book a week when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confirmed that reading many books and liking to read were elements that had different dimensions. For example, about 35% of the participants said they liked books but rarely read them.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reading habits formed in elementary school were a strong variable that affected the number of days that and the reading time of middle school students rather than the reading preferences formed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concluded that a subjective attitude toward reading and actually reading were completely different problems, which suggested that ‘habits’ could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preferences’ when performing tasks to achieve goals.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현 연구 개관
2. 연구방법 및 절차
    2.1. 참가자
    2.2. 절차 및 측정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3.1. 초등학교 6학년 때의 독서습관과 선호도
    3.2. 초등학교 6학년 떄의 독서습관 및 선호도가중학교 1학년의 독서한 날에 미치는 효과
    3.3. 초등학교 6학년 떄의 독서습관 및 선호도가중학교 1학년의 독서시간에 미치는 효과
4. 결론 및 논의
    4.1. 결과 요약
    4.2. 시사점
    4.3. 한계와 향후 연구제안
REFERENCES
저자
  • 한다혜(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박사과정) | Dahye Han
  • 이국희(경기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 Guk-Hee Lee Corresponding aut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