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종설에서는 벼와 옥수수, 콩과작물, 감자, 들깨, 참깨에 대한 주요 나비목 해충 22종의 성페로몬 조성에 대해 국내외에서 연구된 결과들 을 비교하면서 성충 예찰 수단으로 활용 가능한지를 분석하여 간단하게 정리하였다. 이 중 4종의 국내 개체군에서는 성페로몬샘 추출물로부터 성 페로몬 성분들이 동정되고, 야외실험을 통해 그 조성이 규명되었다. 다른 3종에 대해서는 국내 개체군을 이용한 페로몬 화합물의 화학적 동정과 정은 없었으나, 보고된 성페로몬 성분들을 이용한 실내 및 야외에서의 세밀한 조성실험을 통해 국내 개체군에 대한 최적 예찰조성이 선발되었다. 일부 종에 대해서는 최적 예찰미끼 개발을 위해 성페로몬샘에서 발견되는 미량성분의 역할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In this review, the compositions of the sex pheromones of 22 lepidopteran species were analyzed and briefly arranged by comparing the research results conducted in different locations worldwide. These compositions can be used as monitoring tools for pests of rice, maize, leguminous crops, perilla, and sesame in Korea. The sex pheromone compounds and those compositions of four specie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within Korean populations. The optimal compositions of sex pheromones of three other species were selected through behavioral studies using synthetic chemicals of the known pheromone compounds in laboratories and fields, without chemical identification processes in the sex pheromone compounds of Korean populations. For a few species, the roles of the minor components of the sex pheromone volatiles should be re-assessed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optimal monitoring l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