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대 도자 중서(中西)교류의 전개와 확장-광채(廣彩)와 이슬람 세계- KCI 등재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hina-Western Exchange of Qing Dynasty ceramics-Guangcai and the Islamic wor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3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광채는 태생부터가 유럽시장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생산된 자기이지만, 18세기 후반 이후 이슬람 세계로의 소비정황이 확인되고, 19세기에 이르면 본격적인 이슬람 시장으로의 수출이 이루어져 광채자기의 생산과 수출과정에 모종의 변화가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18세기의 대표적 예로 무굴제국에 유입된 광채 식기세트가 있으나 소량에 불과하다. 이 는 아마도 당시 동인도회사가 중서무역에 절대적 우위를 선점하는 가운데, 영국 동인도회사 령의 무굴제국에서 아시아 간 역내무역 형태로 소량 주문되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 아시아 역내무역의 주요 축이었던 인도 무굴제국과 중국과의 소규모 거래에 의한 것으로, 수 출된 광채자기의 장식이 유럽 도기에서 주로 사용된 ‘백색 위의 백색(Bianco Sopra Bianco)’ 기법이 상용된 것으로 보아 특정 계층을 위한 소량의 주문품으로 보인다. 다만 이 때 광주의 요업계 역시 동인도회사를 통한 유럽으로의 대규모의 수출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이슬람 세계는 핵심 시장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1840년대 광동의 일항 체제가 종식되면서, 광채의 수출에도 드디어 변화가 감지된다. 19세기의 중국 요업계는 주요 고객을 잃으면서 새로운 시장으로의 개척이 필요했 고, 광채 생산업계는 때마침 1840년대 난징조약에 의한 對중국의 자유무역이 활발해지면서 페르시아 카자르 왕조․이집트․오스만 제국 등 이슬람 세계에 의한 직접적 주문과 함께 이 슬람 세계로의 본격적 수출이 이루어 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슬람 세계로 적지 않은 수량이 수출되면서, 카자르 왕조에서 생산된 채회도기의 다수가 광채 양식을 그대로 답습하기도 하 였다. 즉 당시 이슬람 세계에서의 광채 수입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Guangcai(廣彩) is a ceramics produced from birth to meet the demand of the European market, but after the late 18th century, the consumption situation to the Islamic world was confirmed and exported to the Islamic market in earnest in th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has been some kind of change in the production and export process of the radiant ceramics. A typical example of the 18th century is the Guangcai Tableware set introduced into the Mughal Empire, but only in small quantities. Perhaps, with the East India Company gaining an absolute advantage in Chinese and Western trade at the time, it is believed to have been introduced in small quantities in the form of trade between Asia from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s Mughal Empire.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the East India Company had an absolute advantage in trade between China and the West at the time, and imported only a small amount in the form of trade between Asia from the Mughal Empire dominated by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This was due to small-scale deals with India's Mughal Empire and China, which were the main pillars of trade between Asia at the time. Given the use of the ‘BiancoSopra Bianco’ technique, which is mainly used in European pottery, only a small amount must have been ordered for a particular class. However, the Islamic world was not a key market because Gwangju the ceramic industry at the time also focused on large-scale exports to Europe through the East India Company. Then, with the end of one port system in Canton in the 1840s, a change in the export of Guangcai is finally detected. In the 19th century, China's pottery industry lost its main customers and had to open new markets, and China's free trade was boosted by the Treaty of Nanjing in the 1840s. At this time, the Islamic world, including the Persian Qazar dynasty, Egypt, and the Ottoman Empire, placed orders directly, and it is believed that exports to the Islamic world were made in earnest. As a result, exports to the Islamic world increased, and in fact, colored pottery produced by Qajar Dynasty followed the style of these radianc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mport of Guangcai in the Islamic world reached a significant level at that tim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청대 중서교류의 전개와 확장
Ⅲ. 이슬람 시장을 위한 광채의 생산과 변천
    1. 이슬람 시장과 청대의 무역도자 양상
    2. 이슬람 세계로 수출된 광채와 그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은경(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 Kim, Eun-kyoung (Duksung Wome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