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안선 출수 자기 고족배로 본 중․일 도자 교류의 일면-출수 현황 및 용례 검토를 중심으로- KCI 등재

Aspects on the cultural exchange of ceramics between China and Japan by studying Cups(Gojeokbae) found at Sinan shipwreck-Based on discovery status and use ca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3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이 글에서는 신안해저문화재 가운데 자기 고족배(高足杯)에 주목하여 출수 현황과 조형 특징을 정리하고, 중국 내 생산 및 소비 유적 출토품과 비교를 통해 그 성격과 특징을 살펴 보았다. 필자가 지금까지 파악한 바로는 신안선에서 고족배가 60 여점 발견되었는데 이는 전체 도자기 수량의 0.3% 미만을 차지하는 매우 적은 수량이다. 그러나 청자와 백자가 모두 확인되며 특히 일부 백자 고족배의 경우 부량자국이 관할한 우수한 민간 요장에서 생산된 고 급 생산품이기에 일부는 특별한 목적성을 갖고 교역된 기종으로 여겨진다. 즉 일부 고족배는 높은 위상을 가진 고급 무역품으로 당시 중국 민간 요장에서 중앙으로 공납했던 양식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원나라 관에 공납․유통되었던 것 과 유사한 양식을 갖춘 것이 무역에서 통제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고급 상품성을 가지고 지 역적․계층적으로 폭넓게 유통되었음을 확인한 셈이다. 따라서 신안선에서 발견된 고족배 분석으로 원대 도자무역의 개방된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종 회화와 문헌 자료를 통해 고족배의 용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중국에서 술잔 혹 은 찻잔, 공양구로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일본에서는 신안선에서 발견된 고족배의 비율을 반영하듯 소비지역에서 출토사례가 많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러한 가운데에도 일부 선 종 사찰에서 고족배가 출토되었다는 점은 소비지 성격을 이해하는데 참고자료로 도움이 된 다. 일본의 용례를 살펴본 결과 술잔, 과일이나 음식 등을 바치는 공양기로 사용되었을 가능 성이 가장 높았으며, 오랫동안 전세되어 내려오면서 그 용도가 바뀌어 다실에서 향로로 사용 되기도 하였다. 또 에도시대 중국 청자 고족배가 재현 대상이 되었던 사례를 확인하여, 일본 일부에서는 중국 고족배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또 소장 대상으로서 애호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summarizes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eramic cups(Gojeokbae)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hinan. The characteristics of Gojeokbae were studied compared to those excavated from China. According to the research so far, the number of cups(Gojeokbae)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inan is about 60 pieces. It is very small amount, less than 0.3% of the total number of ceramics excavated from the wreck. For that reason, cups(Gojeokbae) have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export ceramics research. However, the cups(Gojeokbae)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hinan contain both celadon and white porcelain. There are also several white porcelain with the highest quality and inscriptions. Thus, cups(Gojeokbae) are considered to be an object of study, although the excavated quantity is small. Various paintings and literature materials were used to examine the usage of cups(Gojeokbae). They are used as teacup, or winecup, and as a buddhist relics in China. And they are most likely used for drink in Japan. And its purpose used to have changed while its long-term usage. Cups(Gojeokbae) are also used as incense burners in tea rooms. There is the case that the imitations of Chinese celadon cups(Gojeokbae) were produced in Japan during the Edo period. Therefore, it can be known that Japan clearly recognized the Chinese cup and loved it as a collectible. Until now, ceramic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inan was studied mainly from Celadon in Longquan Kiln and Black-Glazed ware in the Fujian Area, which accounted for the largest quantity.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eramics excavated from the shipwreck in Shinan as a trade item, it must be studied regardless of the excavation rate. Close analysis of detailed types and models and extended attention are continuously neede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안선 출수 고족배의 조형 특징과 성격
    1. 기형과 문양
    2. 제작지와 성격
Ⅲ. 원대 고족배의 용례 검토
Ⅳ. 일본 내 고족배의 용도 고찰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장효진(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 | Jang, Hyo-jin (Gwangju National Museum, Associate Cu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