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건강환경이 스트레스, 신체적 건강을 매개로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healthy environ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tress and physical health : Group comparison by gen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6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환경(가정 환경, 지역 환경, 학교 환경)이 스트레스와 신체적 건강을 매개로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환경이 스트레스와 신체적 건강을 매개로 학업 성취 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 간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서 실시한 ‘청소년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의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8,20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의 건강환경은 스트레스와 신체적 건강을 매개로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건강환경이 스트레스와 신체적 건강을 매개로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경로를 남, 여학 생 성별로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경로는 두 집단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지역 환경이 스트레 스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여학생의 경우에만 유의미하였고, 남학생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학업 성취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lthy environment(home environment, neighborhood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tress and physical health. And, differences between genders were analyzed in the influence of healthy environ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tress and physical health. To this,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for 8,201 adolescents using the data of 􍾧Research on Policy Measure for the Guarantee of Youth􍾨s Right to Health􍾨 in 2019.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healthy environ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tress and physical health was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thways of the healthy environ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tress and physical health by male and female, the significant pathway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but the direct effect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n stress and the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but not for mal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or as reference data for related policie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조사절차
    4.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2. 매개효과 분석
    3. 다집단 분석
Ⅳ. 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손한결(이화여자대학교 박사) | Han Gyeol So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