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근육병 장애인의 Arm Support 사용에 따른 작업 부하의 변화와 심리·사회적 영향 : 사례연구 KCI 등재

Workload Changes and Psychosocial Impacts according to Use of Arm Support for People with Muscular Dystrophy: A Case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6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상지근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 수행이 제한되는 근육병 장애인을 대상으로 Arm Support 사용에 따른 작업 부하의 변화와 심리·사회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근육병 장애인 3명으로, 모두 척수성 근위축증을 진단받았다. 대상자는 능 동형 Arm Support 적용 전·후에 식사, 마스크 착용, 머리 빗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후, NASA-TLX를 통해 능동형 Arm Support 적용 전·후 활동의 작업 부하를 측정 및 비교하였으며, 한국판 보조공학기기 심리·사회적 영향 척도 (K-PIADS)를 활용하여 Arm Support의 심리·사회적 영향력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를 통해 기기 사용 후 느낀 주관적인 감정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 작업 부하 변화는 Arm Support 적용 후에 모든 항목의 평균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신체적 요구도 항목의 평균 점수가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심리·사회적 영향 측정 결과는 하위 영역인 자기욕구 실현능력 2.08점(‘긍정적인 영향 ~ 매우 긍정적인 영향’), 적응성 2.06점(‘긍정적인 영향 ~ 매우 긍정적인 영향), 자존감 1.71점(’다소 긍정적인 영향 ~ 긍정 적인 영향‘)이었다. 인터뷰를 통해, 대상자는 Arm Support 사용함으로써 활동 수행 시 자신감, 만족감, 편안함 등을 느 꼈지만, Arm Support 구조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거나 휠체어 구조물의 간섭으로 인해 불편함 또한 느낀 것을 확인하 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Arm Support가 근육병 장애인의 작업 부하를 낮추며, 긍정적인 심리·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점 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다양한 유형의 근육병 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생활 기반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체계 적인 평가를 통해 맞춤형의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Arm Support를 중재 전략으로 활용하는 연구와 서비스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workload and the psychosocial impact of arm support according to use in people with muscular disorders, who are restricted from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e to the decrease i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ree people with muscular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all diagnosed with spinal muscular atrophy. Subjects performed eating, wearing a mask, brushing the hair before and after the active arm support was applied. After that,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workload of activities before and after using active arm support through NASA-TLX, and measured the psychosocial impact of arm support using the K-PIADS. Finally, we investigated the subjective feeling of the subjects after using the arm support through an interview.
Results : As for the change in workload, the average score of all items decreased after using arm support,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physical demand item decreased the most. The results of the psychosocial impact were 2.08 points ('positive impact ~ very positive effect') for competence, 2.06 points for adaptability ('positive effect ~ very positive effect'), and 1.71 points for self-esteem ('slightly positive effect ~ positive effect'). Through the interview, we confirmed that the subjects felt confidence, satisfaction, and comfort when performing the activity by using arm support, but also felt uncomfortable due to the arm support not being fixed correctly and the interference of wheelchair structure.
Conclusions :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rm support lowered the workload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had a positive psychosocial impact. In the future, we hope that a study based on the community will be conducted for various types of people with muscular disabilities. And also customized service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systematic evaluation. w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and services that utilize arm support as an intervention strateg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Arm Support
    4. 평가도구
    5.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작업 부하의 변화
    2. Arm Support의 심리·사회적 영향
    3. 인터뷰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윤환(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박사 통합과정) | Lee, Yun-hw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d School, Yonsei University, Joint(M.S. & Ph.D) Course)
  • 김정현(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연구교수) | Kim, Jeong-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W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 김종배(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정교수) | Kim, Jongb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W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