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매 환자의 보조기기 적용에 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Systematic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ement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6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국내외에서 보고된 치매 보조기기 적용 연구의 고찰을 통해 보조기기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외 에서 사용되는 보조기기의 종류와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RISS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3편의 국내외 연구를 대상으로 하 였다. 검색단어로는 “치매” AND “보조기기”OR“보조공학”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연구들은 연구의 근거기반 질적 수준 분석모델에 따라 분류하였고 PICO로 정리하였다.
결과 : 선별된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13편 중 8편의 연구가 치매환자의 정서상태인 기분, 우울, 불안에 긍정적인 효 과를 보였다. 로봇 종류 보조기기의 효과성으로는 치매 노인의 의사소통과 긍정적 정서상태 및 행동 증진이 있다. 배회감 지기의 사용은 치매 노인의 배회행동과 불안의 감소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AT 기반장치는 사용성과 유용성 면에서 사 용자들의 만족이 높았으며 디지털 보조장치는 치매 노인의 가정생활 지속 능력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결론 : 치매 보조기기는 정서, 문제행동, 의사소통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등 기본 일상생활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는 치매 노인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치매 노인 개개 인의 특성에 알맞은 보조기기를 적용하는 데에 적절한 참고자료가 됨으로써 이에 따라 다양한 치매 보조기기 적용 중재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develeopment status of auxiliary device, Research tren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How to use it through th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 In this study, 13 of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using RISS and Pubmed databases. As search terms, “assisted device” OR “assisted engineering” AND “dementia” were used. The studies to be analyz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based qualitative level analysis model. The study was summarized as PICO.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studies, 8 out of 13 studi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state of dementia patients(Feelings, Depression, Anxiety). The common effectiveness of robot-type assistive devices includes communication and positive emotional state and behavior promo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use of Roar detect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oaming behavior and anxiety reduction in dementia. AT-based devices were highly satisfied by users in terms of usability and usefulness. The digital assistance device had the effect of extending the ability of dementia patients to continue their home life.
Conclusions : Dementia assisted device have positive effects in the areas of emotion, problem behavior, and communication. It can also be useful for the dementia who have difficulties in their basic daily lives. Through this study, a study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should be conducted. It will be an appropriate reference for applying auxiliary devic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ly, intervention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various dementia aid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문헌검색방법
    2. 포함 및 배제기준
    3. 자료 수집 과정과 선정
    4. 연구 근거의 질적 수준
    5. 연구의 결과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 연구의 근거에 대한 질적 수준
    2.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 보조기기의 종류
    4. 보조기기 적용의 효과
    5. 비뚤림 위험 평가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전미현(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 | Jeon, Mi-Hyeon (Dept. of Occupatioan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김동현(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 | Kim, Dong-Hyeon (Dept. of Occupatioan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김나현(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 | Kim, Na-Hyeon (Dept. of Occupatioan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이예은(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생) | Lee, Ye-Eun (Dept. of Occupatioan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
  • 유두한(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Yoo, Doo-Han (Dept. of Occupatioanl Therapy, Konyang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