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Dominant Eye with Methods of Testing KCI 등재

검사방법에 따른 우세안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1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우세안 검사 방법 중 3가지인 +2.00 D 검사, 원형구멍카드 검사, 접안렌즈 접근 검사에 따른 우세안을 알아보며, 우세안과 다른 요인인 우세손, 양안의 교정굴절력에 따른 일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신질환, 안질환, 굴절교정 수술 경험이 없는 평균연령 23.79±5.03세 성인 58명(남 36명, 여 22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완전 교정 상태를 만든 후 +2.00 D 렌즈 검사, 원형 구멍 카드법(hole in the card test), 접안렌즈 접근 검사를 시행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감각 우세안 우안 38명 좌안 20명, 시야 우세안 우안 45명 좌안 13명, 접안렌즈 우세안 우안 46명 좌 안 12명으로 우안의 비율이 높았다. 우세손은 오른손 56명 왼손 2명, 우세손과 우세안의 일치는 감각 우세안 38명, 시야 우세안 45명, 접안렌즈 우세안 44명으로 우세안과 우세손의 일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0). 교정굴절력에 따른 우세안에서는 등가구면 굴절력에서 낮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18명 시 야 우세안 14명 접안렌즈 우세안 16명, 구면 굴절력에서 낮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24명 시야 우세안 19명 접안렌즈 우세안 19명, 원주 굴절력에서 낮은 눈이 우세안인 경우 감각 우세안 17명, 시야 우세안 21명 접 안렌즈 우세안 20명으로 교정굴절력이 낮은 눈과 우세안의 일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결론 : 감각 우세안의 방향과 시야 우세안 방향의 일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우세안은 측정법에 따라 다르게 판정될 수 있으므로 우세안 검사는 감각 우세안 검사와 시야 우세안 검사 두 가지 모두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In this study, three of the various dominant eye test methods such as +2.00D test, circular hole card test and eyepiece approach test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dominant eye and other factors, the dominant hand and the corrective refractive power of both eyes was investigated.
Methods : Fifty eight adults (36 males and 22 females) age 23.79±5.03 years with no experience of general disease, eye disease and refractive surgery were participated. After full correction, a +2.00 D lens test, a hole in the card test and an eyepiece approach test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umber of those with sensory dominant eye was 38 people on the right and 20 people on the left, sighting dominant eye was is 45 people on the right and 13 people on the left, and eyepiece dominant eye was 46 people on the right and 12 people on the left, showing that the ratio of right eye was high. The number of those with the dominant hand was 56 right-handed and 2 left-handed. Regarding agreement between dominant hand and dominant eye, it was revealed 38 sensory dominant eyes, 45 sighting dominant eyes and 44 eyepiece dominant eyes, showing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reement between the dominant hand and eye(p>0.050).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yes corrected with low refractive errors and the dominant eye(p>0.050).
Conclusion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sensory dominant eye and that of the visual dominant eye. Since the dominant eye was measured 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it is considered that both a sensory dominant eye test and a visual dominant eye test should be performed for the dominant eye test.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방법
Ⅲ. 결 과
    1. 우세안
    2. 우세안과 우세손
    3. 교정굴절력에 따른 우세안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In-Haeng Ryu(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옵토메트리학과, 학생) | 류인행
  • In-Chul Jeon(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 전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