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inking Culture and Performance of Daily Life in the T’ang Dynasty: Research on the Dunhuang Manuscript Da Ju Lon 茶酒論
「다주론」은 20세기 초 돈황 장경동에서 발견된 통속서사 작품 중 하나이 다. 의인화된 차와 술의 논쟁으로 구성된 이 소품은 두 사물이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독특한 형식, 해학적인 언어와 함께 당시 유행한 공연 형식과의 직접적 연관성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뿐만 아니라 이 작품은 음용 문화를 대표하는 차와 술에 대한 당시의 인식을 현실적으로 보여준 다는 점에서 문화사적으로도 연구의 가치가 있다. 돈황 사본은 천여 년 전의 원본으로서 2차 텍스트 자료만으로는 파악하 기 힘든 정보까지 제공해준다. 모든 자료가 유일본이라고 할 수 있는 필 사본은 하나하나가 독립된 자료로서 문헌학적 정보를 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작품의 내용이나 사본의 성격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다주론」 사 본의 문헌적 특징까지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논문의 주요 내용으로 음 용 문화와 공연의 관점에서 당시 차와 술에 대한 인식과 「다주론」 작품 의 공연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주론」에서 차와 술은 대등하게 논쟁을 진행하기보다는 차가 논의를 주도하다가 결국은 일방적 으로 차가 술을 비판하는 단계에 이르고, 이는 곧 당시 통속서사 작품에 가미된 불교적 색채와 관련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자료의 문헌학적 특징에 근거하여 독서용 사본으로서의 현존 「다주론」에 대해 분석하였다.
Da Ju Lon 茶酒論 is one of the popular narrative works discovered in the Buddhist Library Cave 藏經洞, Dunhuang in the early 20th century. Composed of debates between anthropomorphic tea and alcohol, this work is notable for its unique form in which the two drinks claim their opinions, humorous language and direct connection with the popular performance at the time. In addition, this work is also worth studying in terms of cultural history in that it realistically shows the perception of tea and alcohol in the T’ang dynasty, which represent drinking culture. The Dunhuang manuscripts are original materials dating back over a thousand years. So it provides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grasp with only secondary text sources. Manuscripts, in which all materials can be said to be unique, contain philological information as individual materials.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 of Da Ju Lon as well as analyze the content of the work and the nature of the manuscript.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tea and alcohol at the time and the perfomace method of Da Ju Lon from the viewpoint of drinking culture and performing arts. In Da Ju Lo, tea leads the discussion and eventually criticizes alcohol unilaterally. This has to do with the Buddhist features added to the popular narrative works of the time. And at the end of the paper, we analyze the existing Da Ju Lon manuscript as a work for reading based on the philologic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