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부적응아동의 미술심리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Maladjusted to school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3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예술매체를 통하여 학교부적응아동들에게 적용함으로서 의 사소통 능력을 배양하여 학교생활에 대한 이해 및 적응력을 높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00초등학교 1∼2학년 학생 6명이 선정되어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으나 총 5명이 프로그램을 마쳤다. 연구방법은 단일사례로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하였다. 연 구결과, 심리적⋅정서적 안정에 영향을 미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집단 내 대상자들은 동질 성을 중심으로 한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짧은 회기는 대상자들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에 미흡하므로 중⋅장기의 회기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다각적인 프로그램 모색이 필요하다. 넷째, 특별히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한 아동에 게는 사후관리 차원의 정기적인 면접 및 면담권의 제도적인 확보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self - esteem by improving communication by applying it to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rough various art media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5 students in 1st and 2nd of elementary school.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programs compared with the care of the same da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se programs had a positive effect by affecting psychologicaland emotional st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methods were suggested. First, the subjects in the group need to be structured around homogeneity. Second, a short session is insufficien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subjects to reach the goal, so a mid - to long term session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ecure regular interviews and interview rights for children who need special continuous interven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seek out various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to school lif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1. 자아존중감
    2. 적응유연성
    3. 미술심리상담 이론 및 특성
Ⅲ.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연구대상 및 시기
    3.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분석 결과
    2. 프로그램실시 이후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순금(서울한영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 Lee soon g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