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설악산 토양 내 황사의 퇴적과 풍화 KCI 등재

Dust Deposition and Weathering in Soils of Seorak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4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한반도는 황사의 이동 경로에 있으나, 풍화와 침식이 활발한 산악 지형에서 황사의 퇴적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설악산 알칼리장석화강암 토양의 세립실트(< 20 μm)에 점토광물 특성, 광물조성, 미세 조직 분석을 실시하여 산악지역 토양 내 황사퇴적물의 존재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 토양 세립실트는 기 반암 유래 쇄설성 입자, 황사퇴적물, 그리고 이들의 풍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토양 내 황사기원 광물로 2:1 층상규산염, 녹니석, 각섬석, 녹염석, 함칼슘사장석이 확인되었다. 기반암인 알칼리장석화강암은 석영과 알칼 리장석으로 구성되며, 알칼리장석 중 앨바이트가 부분적으로 풍화되어 소량의 깁사이트와 고령토 광물이 생 성되었다. 산성토양환경에서 일라이트-스멕타이트 계열 2:1 층상규산염의 팽윤성 층간에 다핵 Al 양이온 종들 이 교환 및 고정되어 히드록시-Al삽입점토광물이 생성되었다. 2:1 층상규산염 총량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조사 한 토양 세립실트 내 황사의 양은 70% 정도로 추정된다.

Asian dust (Hwangsa)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Korean Peninsula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ir existence in mountainous terrain undergoing active erosion and weathering. This study examined Asian dust sediments mixed in soils by analysing clay mineralogy, mineral composition, and microtextures of fine silt (< 20 μm) in the alkali feldspar granite area of Seoraksan. The fine silt was composed of detrital particles derived from bedrocks, Asian dust sediments, and their weathering products. Clay minerals of 2:1 structural type, chlorite, amphibole, epidote, and Ca-bearing plagioclase were identified as eolian mineral particles. During the weathering of the bedrock composed of quartz and alkali feldspars, albite was partially weathered to produce small amounts of gibbsite and kaolin minerals. Hydroxy-Al interlayered clay minerals were formed by the exchange and fixation of polynuclear Al cationic species into the interlayers of expandable 2:1 clay minerals dominated by illite-smectite series clay minerals. Contribution of Asian dust to the fine silt of soils was estimated around 70% on the basis of total contents of 2:1 phyllosilicat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언
지질 및 분석시료
실험방법
결 과
    점토광물특성
    전시료 광물조성
    주사전자현미경분석
토 의
    세립실트 구성광물의 기원
    황사의 퇴적 후 변질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정기영(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Gi Young Jeong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3672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