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산 영도 일대의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KCI 등재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Yeongdo island, Bu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4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부산광역시 남해안에 위치한 행정자치구 영도(Yeongdo island) 봉래산 일원을 구성하는 화산암류는 안산암질∼유문암질암으로 구성된다. 안산암질암은 주로 화산각력암으로 구성되며, 반정으로 사장석을 가지며 다량의 암편(岩片)을 함유하고 있다. 유문암질암은 산출형태에 따라 봉래산 기저부는 화산각력암으로 구성되 며, 용결응회암이 봉래산 주산체를 이룬다. 육안으로 피아메 구조를 관찰할 수 있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용결 구조는 약하게 발달하고 응회암을 구성하는 암편 및 결정 함량은 적어진다. 본 연구지역을 형성한 마그마는 섭입작용과 관련된 대륙연변부의 조구조 환경과 관련 있으며, 약간의 대륙지각의 혼염과 동시에 분별결정작 용을 겪은 뒤 분출하였음을 지시한다. 고도별 주원소를 분석한 결과, 최소 4회 이상의 마그마 배취(magma batches)가 주입되어 혼합이 일어난 결과로 생각된다.

The volcanic rocks that make up Yeongdo island, an administrative district located on the southern coast of Busan, are composed of andesitic and rhyolitic rocks. Andesitic rock is mainly composed of volcanic breccia has a phenorysts of plagioclase and contains rock fragments. The rhyolitic rock is composed of volcanic angular rock at the base of Mt. Bongnae, and welded tuff forms the main mass of Mt. Bongnae. The fiamme structure can be easil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higher the altitude, the weaker the welded structure develops and the less the amount of rock fragments and crystals constituting the welded tuff. It is indicated that the magma that formed this study area is related to the tectonic environment of the continental margin related to subduction, and that it erupted after undergoing fractional cystallization at the same time with some contaminant in the continental cru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elements by altitude, it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mixing at least 4 times or more of magma batch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지질개요
암석기재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유문암질 화산각력암
    하부 유문암질 용결응회암
    중부 유문암질 용결응회암
    상부 유문암질 용결응회암
암석화학
    주원소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
토 의
    마그마 성인
    조구조 환경
    마그마 배취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도형(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한국과학영재학교) | Dohyoung K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Korea Science Academy of KAIST, Busan, Korea)
  • 윤성효(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화산특화연구센터) | Sung-Hyo Yu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Volcano Specialized Research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