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물과 암석’ 관련 야외지질학습에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한 탐색 - 생소한 경험 공간을 중심으로 - KCI 등재

Exploring Learning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in a Geological Field Trip Activity concerning ‘Minerals and Rocks’ - Focus on Novelty Spa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5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진행된 야외지질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생소한 경험 공간 (Novelty space) 개념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과 후 자율 동아리 활동 형식으로 서울의 한 공립 초등학교에서 진행된 본 프로그램에 6학년 학생 총 10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광물과 암석 표 본을, 야외 학습 환경에서 노두에 노출되었거나 정원석 등으로 쓰이고 있는 광물과 암석을 각각 관찰하였다. 저자들은 각 차시별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활동지(글, 그림), 연구자 참여 노트, 연구 참여자의 활동이 담긴 영상 및 음성 자료 와 사후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지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Remmen and Frøyland (2020)의 암석 분류를 위한 관찰 분석틀과 Oh (2020)의 암석 기술어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또한 심리 및 지리적 영역 의 학습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학생들의 그림과 담화 및 면담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 실 학습 환경에서 ‘일상적’, ‘과도기적’ 관찰 양상을 보였으며 야외 학습 환경에서(학교 운동장, 지역사회)는 ‘과도기적’ 및 ‘과학적’ 관찰 단계까지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덧붙여 과학적 관찰 단계로 갈수록 더 많은 종류의 암석 기술어 가 사용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심리, 지리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익숙한 야외 학습 환경으로의 답사 장소 선정, 야외 지질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심미적 감상 등을 표현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한 도 구로써 생소한 경험 공간 개념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아울러 가상야외지질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 환경을 고려하는 학술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geological field trip conducted under the theme ‘minerals and rocks’, focusing on novelty space. A total of 10 six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eld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part of after-school club activities. Students observed mineral and rock samples in a classroom and outdoor learning environment. The authors collected activity papers (texts, drawing), researchers’ participation notes, video and audio recordings containing the study participants’ activities, and post-interview data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in the cognitive domain of students, the observation analysis framework for rock classification of Remmen and Frøyland (2020) and the rock description analysis framework of Oh (2020) were used. Additionally,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geographic areas, students’ drawings, texts, discourses, and interview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demonstrated ‘everyday’ and ‘transitional’ observations in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while in the outdoor learning environment (school playground, community-based activities), they demonstrated ‘transitional’ and ‘scientific’ observations. Moreover, as the scientific observation stage progressed, more types of descriptive words for rocks were used.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geographic aspects, students showed their selection of places to explore familiar outdoor learning environments, positive perceptions of outdoor learning, and aesthetic appreciation. Finally, this study not only discussed novelty space as a tool for analyzing students’ learning effects bu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an academic approach considering new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learning through virtual field trip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및 연구 참여자
    2. ‘광물과 암석’ 식별을 위한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연구 결과
    1. ‘광물과 암석’ 야외지질학습의 인지적 영역 학습효과
    2. ‘광물과 암석’ 야외지질학습의 심리적 및 지리적 영역의 학습효과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최윤성(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Yoon-Sung Choi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 김종욱(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Jong-Uk Kim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0663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