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Nature of Missiology as Public Theology KCI 등재

공공신학으로서의 선교학 속성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916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22.3.1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오늘날 신학의 전 분야에서 기독교의 공공성, 즉 공공 신학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팬데믹을 겪으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기독교 내에서는 물론이고, 기독교 외부에서도 이와 같은 사회 문제에 대해 기독교가 반응하고, 대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즉, 교회 공동체의 신앙과 신학이 교회 안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현상이 선교학 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선교학은 그 전까지와는 다른 주제들로 범위를 넓히게 되었는데, 그것은 정의와 해방과 같은 공적인 문제들과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오늘날 신학계와 선교학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두 가지 현상은 선교학의 공공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만든다. 사실 선교학은 속성에 있어서 공공성을 띠고 있다. 그것은 공공 신학과 관련된 세 가지 요소를 비교했을 때 드러나는데, 첫 번째는 공공 신학과 선교학의 정의(definition) 와 공공성의 개념, 두 번째는 학문의 상황성과 간상황적 속성 (contextuality and intercontextuality), 마지막 세 번째로는 간학문성 과 구성주의적 방법론이다.

Two trends have emerged in theology and missiology in the recent decades, which are the interest in “publicness.” Many theologians, regardless of their specific expertise, are exploring the Christian faith in the public sphere. They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issues outside church, especially after the Pandemic. A similar phenomenon appears to missiology. After David Bosch, contemporary missiologists embark on dealing with public issues as themes of missiology. These current trends lead one to think about publicness of missiology. Indeed, the nature of public is in missiology. This can be recognized vividly through comparison of three elements in public theology and missiology: definitions of public theology and missiology, contextuality and intercontextuality, and interdisciplinarity and constructive theology as methodology.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Definition and Publicness
    1. Public Theology
    2. Missiology
III. Contextuality and Intercontextuality
    1. Public Theology
    2. Missiology
IV. Interdisciplinarity and ConstructiveMethodology
    1. Interdisciplinarity and a Trend of ResearchMethodology
    2. Public Theology and Missiology as ConstructiveTheology
V. Conclusion
한글초록
Bibliography
저자
  • Hoon Jung(Fuller Theological Seminary 박사 과정) | 정훈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