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내용과 계약 위반 사건의 원인에 대한 질적연구 KCI 등재

A Qualitative Study On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 Contents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0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는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psychological contract) 내용을 확인하고 계약 위반 사건의 원인을 분석함 으로써 조직이 어떻게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을 관리할 것인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주재원과 귀임 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지시적 내용분석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주재원에 대한 조직의 의무는 금전 보상, 복리후생, 생활지원, 가족지원, 성과관리, 경력지원, 업무지원 등 7개 영역으로 범주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직장인과 비교해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은 금전 보상과 복리후생 영역이 세분화되어 있고, 생활지원과 가족지원 영역을 포함하여 계약의 범위가 넓으며 계약기간 또한 주재원 파견 전부터 귀임 후에 이르기까지 파견 기간보다 길다는 특징이 있었다. 둘째, 심리적 계약 위반의 원인 은 계약어김, 의무 불일치, 의무 이행 수준 불일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주재원의 경우 의무 불일치로 인한 계약 위반이 가장 많았고 성과관리와 업무지원 영역에서 발생빈도가 높았다. 이는 주재원과 조직 사이에 상호 의무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며 업무영역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주재원이 조직의 계약 이행 차이를 인지한다고 모두 계약 위반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며, 유사 사건이라 할지라도 사건의 원인과 맥락에 따 라 계약의 위반 여부를 다르게 인식하였다. 넷째, 계약의 이행차이를 인지하였으나 위반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한 주재원의 경우 파견 전 업무에 대한 이해가 높고, 현지 경험이 개인의 경력목표를 충족시키는 정도가 크며, 조직후원인식이 높다는 특징이 있었다. 본 연구는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내용과 위반 사건의 이해를 통해 심리적 계약 위반이 초래하는 부정적 영향력 에 대한 매커니즘의 이해를 돕고, 적용이론과 실증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주재원 관리와 제도 운 영에 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Drawing on psychological contract theory,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identify Korean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 contents and investigate the main causes of their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PCB). Findings from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4 expatriates and repatriates show the followings. First, Korean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 contents include 7 categories: compensation, benefits, living support, family-oriented support, performance management, career management, and work support. Compared with Korean whitecollar workers’ psychological contracts, those of Korean expatriates feature detailed compensation and benefits contents, broader contract coverage, and longer contract duration. Second, the majority of expatriates’ PCBs come from obligation incongruence, which shows a high possibility that expatriates and employers hav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ir mutual obligations and implicit expectations. Third, All PCBs do not necessarily lead to stro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 feeling of betrayal, or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Instead, the contextual factors and expatriates’ interpretation of PCBs are critical to evaluating contracts’ fulfillment. Fourth, a few expatriates who are merely experienced PCBs have several features: a high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assignment, a high level of career satisfaction from host country experienc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is research advances the psychological contract theory by enhancing an understanding of Korean expatriates’ psychological contract contents, complementing a mechanism to explain the negative effects of expatriates’ PCB, and highlighting areas in need of future research that help a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expatriate performance and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심리적 계약 관점에서의 주재원 연구
    2.1 심리적 계약
    2.2 주재원의 심리적 계약 연구
Ⅲ. 연구질문
Ⅳ. 연구방법
    4.1 개요
    4.2 대상
    4.3 절차
    4.4 인터뷰 분석
Ⅴ. 연구결과
    5.1 심리적 계약 내용
    5.2 심리적 계약 위반 사건의 원인
    5.3 심리적 계약 위반 사건분석
Ⅵ. 논의 및 제언
    6.1 연구결과 요약
    6.2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6.3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6.4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제안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이해경(서강대학교 경영대학 박사과정) | Haekyu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