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물리 치료사의 업무 중 근골격계 장애를 유발하는 환경 적 요인 및 자세 요인에 대한 실태 조사 및 결과를 분석하고 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 예방 메뉴얼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신경계 치료 분야 종사자 30 명, 근골격 치료 분야 종사자 3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방법은 물리 치료사의 치료 영상을 30 분 동안 촬영했다. 작업 자세는 2분 간격으로 15번 절단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도구는 OWAS 및 REBA를 사용한 자세 분석을 사용하였다. 근골격계 및 신경계 대상자들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질환 예방 매뉴얼을 통해 2주간 중재 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신체 부위 별 유병률과 특징적 분포는 신경계와 근골격계에서 허리 통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OWAS 기준에 따른 작업 자세 분포는 신경계 분야에서 신체, 다리, 체중, 활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 <0.05), 근골격계 분야에서 다리와 활동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0.05). REBA 평가 기준에 따른 근무 태도 분포는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 예방을 위한 부적절한 작업 자세 예방 교육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근골격계 예방 교육을 마련하고 질병을 줄이기위한 환경 적 요인과 자세 요인을 바꾸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posture factors that cause musculoskeletal disorders during the work of physical therapists and analyze the results. It was conducted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 to the manual for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s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and to find out the results.
Method: In this study, 30 workers in the field of nervous system therapy, 30 persons in the field of musculoskeletal treatment field, totaling 60 subjects were targeted. For the measurement method, video of physical therapist's treatment was taken for 30 minutes. The posture of work was analyzed with 15 cuts at 2minute intervals. The evaluation tool used posture analysis using OWAS and REBA. The musculoskeletal and nervous system subjects identified problems and measured changes after 2 weeks of intervention through the appropriat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s musculoskeletal disease prevention manual.
Result: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 distribution by body site were the highest percentages of back pain in both nervous system field and musculoskeletal field. Work pos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OWAS criteria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legs, weight, and action in the field of nervous system (p <0.05),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egs and action in the field of musculoskeletal system (p <0.05). The working attitud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BA evaluation standards al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nclusion: In this study, it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basic material in inappropriate work posture prevention education for preventing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stem. It seems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musculoskeletal system preventive education, to change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postural factors to reduce the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