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n the Change of Stereoscopic Depth Perception with Geometrical Monocular Cues KCI 등재

입체경에서 기하학적 단안 단서에 의한 거리감 지각의 변화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5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입체경에서 기하학적 단안 단서를 타깃의 배경에 적용하여 거리감 지각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가상현실에 서 거리감의 효과적인 구현 방법을 분석하였다.
방법 : 타깃의 배경에 사용된 단안 단서는 결의 밀도, 선형 전망, 대기 전망 및 음영이었다. 결의 밀도 단서 및 선형 전망 단서는 선의 개수와 대비도, 대기 전망 단서 선의 개수와 대비도 차이, 음영 단서는 음영의 농도와 범위 를 각각 변수로 선정하였다. 타깃은 모든 대상자에게 무작위로 제시하였으며,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검사 후 5점 척도의 설문조사를 통해 거리감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거리감 변화에 대해 대상자의 지각이 의도한 것과 일치 했을 때 긍정적, 그렇지 못했을 때 부정적 효과로 구분하고, 거리감 변화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결과 :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단안 단서의 변수에 대해 의도한 것과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근 거리는 일부 변수 조정 항목에서 다소 차이가 발생했다. 또한, 거리감 변화 효과는 결의 밀도 단서 및 대기 전망 단서에 의해 선의 개수가 변화했을 가장 높았고, 일부 유의하였다(p<0.050).
결론 : 입체경에서 대상자의 거리감은 주시거리가 동일해도 타깃의 배경에 적절한 단안 단서를 제공하여 조정 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거리 및 근거리 입체시표의 기하학적 단서 중 결의 밀도 및 대기 전망 단서에서 선의 개수를 변화시켰을 때 거리감 지각 변화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정확한 거리감 지각을 위해서는 조절 및 폭주 변화 등을 추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In this study, the geometrical monocular cues were presented with the stereoscope target’s background, the change in depth perception was confirmed, and an effective realization method of depth perception in virtual reality was analyzed.
Methods : The monocular cues used for the target’s background were the texture gradient, the linear perspective, the aerial perspective, and the shading. The number and contrast of lines were selected for the control parameters with the texture gradient, the linear perspective, the number and contrast difference of lines were selected for the control parameters with the aerial perspective. Also, the density and range of shading were chosen for the control parameters with shading. The target was randomly presented to all subjects, and the change in depth perception was identified through a 5-points scale survey after measuring at far and near. Moreover, the efficiency was evaluated through the change in depth perception into a positive effect when the subjective’s perception matched the intended one and a negative effect when it did not matched.
Results :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monocular cue parameters were 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In the near, some differences were found with the control parameters. The efficiency of depth perception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through the number of line control with a texture gradient, and aerial perspective. Conclusion : The subject’s depth perception in the stereoscope can be finely adjusted even if the same viewing distance, through the appropriate monocular cues provided. Also, the efficiency of depth perception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through the number of line control with a texture gradient. In order to more accurate depth perception, a follow-up study adding a change of accommodation and vergence is necessary.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입체경의 설계
    3. 시표의 설계
    4. 상대적 거리감
    5. 통계분석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2. 가하학적 단서에 따른 상대적 거리감
    3. 거리감 지각 변화의 효과
Ⅳ. 고찰 및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요 약
저자
  • Tae-Young Park(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 박태영
  • Hang-Seok Lee(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 이항석
  • Bon-Yeop Koo(신성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 구본엽
  • Ki-Hyeon Kim(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학생) | 김기현
  • Ki-Choong Mah(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 마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