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개소 이후 역세권 지역 변화 분석: 인구구조와 토지이용 변화 비교를 중심으로(2016-2021) KCI 등재

The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and Land Use Changes in Dongdaegu Station Area (2016-2021)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706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2.22.2.0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교통수단과 시설의 도입은 인근 지역의 인구구조, 토지이용, 거주민의 통행행태뿐만 아니라 도시 및 지역 공간구조의 변화를 가져온다. 최근 활발하게 도입이 논의되고 있는 복합환승센터는 이용자들의 환승편의를 증진시켜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촉진하고, 대규모 상업/문화시설을 함께 입지시켜 쇼핑/여가활동 인구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역세권 지역의 인구구조 와 토지이용에 복합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처음으로 건설된 복합환승센터가 위치한 동대구역 역세권 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시설의 입지가 유발하는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자와 건축물 단위로 구축된 인구와 토지이용 자료를 버퍼(Buffer)와 고리존(Annuli)으로 집계하였고, 이들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 모수, 비모수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 다. 또한, 주성분 분석을 활용하여 인구와 토지이용 각각의 대표적인 변화를 도출하였으며, 국지적 Moran I를 활용한 LISA 분석을 통해 역세권 내에서도 해당 변화들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지역을 격자단위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동대구역 남쪽에서 업무지구로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북쪽으로는 단독주택에서 아파트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업무지구로의 변화가 관찰되는 지역에서 20대 인구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토지이용이 아파트 중심으로 변화하는 지역에서는 전 연령의 인구 증가가 확인되었다.

The Multi-Modal Transit Hub promotes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by enhancing the transfer convenience of users and plays a role in accommodating the shopping/leisure activity population by its location near large-scale commercial and cultural facilities. It has resulted in complex changes in the station area’s demographic structure and land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nge caused by the location of the Multi-Modal Transit Hub in the Dongdaegu Station Area in South Korea. Population and land use data were aggregated into buffers, annuli, and 100-meter grids. Using a paired-sample Student’s t-test and a Wilcoxon signed-rank test to analyze the buffers and annuli, we identified differences before (2016) and after (2021) the construction of the transit hub. Using 100-meter grid dat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the local Moran’s I statistic were used to identify spatial clusters and outlier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As a result, a change from the south of Dongdaegu Station to the business district was observed, and a change from single-family houses to apartments was observed in the north of the study region.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was confirmed in areas where changes to business districts were observed, and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all age-groups was confirmed in areas where the land use changed to be centered on apartment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차별성
III. 연구방법
    1. 데이터
    2. 역세권 범위 설정
    3. 대응표본 평균 차이 검정(버퍼와 고리존단위)
    4. 주성분 분석 및 국지적 LISA 분석(100m격자 단위)
IV. 분석결과
    1. 500m 버퍼와 고리존 단위 분석결과
    2. 100m 격자단위로 주성분 분석 및 국지적LISA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도이(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 | Doi Park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경아(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본부장) | Kyunga Park (Department Head,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 이재현(경북대학교 지리학과 조교수) | Jae Hyun Lee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