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소지역 인구추계를 위한 방법론 비교 분석 KCI 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mall Area Population Projection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707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2.22.2.0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최근 시군구와 같은 소지역 수준의 인구추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관찰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소지역 인구추계 방법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소지역 인구추계로 활용될 수 있는 주요 방법론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방법론을 대상으로 인구추 계를 수행함에 있어 적용 가능한 세부 사항을 고려하여 20여 가지의 실행 방법으로 구분하였다. 각 방법에 대해 우리나라 시군구 단위로 2001-2010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0년까지의 인구를 추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인구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추계 수행성을 비교한 결과 절충 할당법과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이 상당히 유사한 정도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계 결과를 인구구조 및 시공간적 이질성의 측면에서 세부적으로 따져본 결과 다른 특성들도 드러났다. 대체로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의 결과가 우수하였지만 0-4세, 25-34세 인구에 대한 오차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추계 기간이 짧은 단기 추계(5년)에서는 절충 할당법이 가장 우수했지만 추계 기간 증가에 따른 오차 증가 폭은 이지역 코호트-요인 법이 가장 낮았다. 개별 시군구의 오차 간에 편차가 있는데, 10% 이상의 오차를 가진 시군구는 약 25%였다. 이들은 인구 이동의 시계열 변이가 크거나 추계기간 중 인구성장율이 달라진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소지역 인구추계 방법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수행될 다양한 소지역 인구추계에서 주요한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pite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population projections for small-areas such are si-gun-gu level units in South Korea, methodological studies on related matters are being conducted very limited. Therefor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methodological alternatives for small-area population projections using observation data. To this end,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population projections for small areas, major methodologies were selected. In performing population projections for the selected methodologies, 20 execution-level method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applicable detailed plans or settings. For each method, population projections were performed targeting for year 2020 based on data from 2001-2010 at the si-gun-gu level in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irst, the compromise-share method and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turned out to be almost equally superior in terms of the overall performance for the total population projection. Second, other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when the estimation results were further examined in terms of population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The results of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were excellent except for the population aged 0-4 and 25-34. In the short-term projections (5 years), the compromise-share method was the best,but the increase in error due to the increase in the estimation period was the lowest in the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Areas with an error of more than 10% accounted for about 25%. They often experienced a great migration pattern change or a serious fluctuation in population growth rate during the estimation perio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major reference in conducting population projections for various small-areas by presenting an empirical basis for the small-area population projection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1. 인구추계 방법론
    2. 비교 분석의 틀과 방법
IV. 시군구 추계 결과 검토
    1. 총인구에 대한 오차 비교 분석
    2. 인구추계 결과에서의 이질성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조대헌(가톨릭관동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Daeheon Cho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이상일(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 Sang-Il Le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