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기관의 스마트시티 사업수행 역량진단 프레임워크 개발과 적용 KCI 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apacity Diagnosis Framework for Smart City to Public Institu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708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2.22.2.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이 스마트시티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어느 정도의 수준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수준진단 프레임워크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기존의 지자체 GIS수준평가 방법과 국토부의 스마트시 티 인증체계 기준, 미래사회의 변화 모습 등 다양한 요소를 검토하여 최종적으로는 스마트시티 인프라역량, 기술 및 데이터 보유역 량, 연계통합역량, 미래의 스마트시티 정책수용역량 등 4개의 분야의 총 50개 세부 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계량화시킬 수 있는 틀을 마련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를 공공기관 A, B, C에 적용한 결과를 상호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스마트시티 사업수행 수준진단 틀은 각 기관에서 시간이 흐른 후에 역량 변화에 활용될 수도 있고, 각 기관의 특성에 맞게 일부 세부항목을 변경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각 기관이 스마트시티 분야의 활동계획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SWOT 분석 대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apacity diagnosis framework to determine what level and capacity public institutes have in implementing smart city projects, for achieving this research purpose, we reviewed a range of factors such as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GIS level evacuation method, the Ministry of Land 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s certification standards for smart cities. We prepared a set of fifty questions in four areas, including infrastructure capacity, data and technology capacity, governance and openness capacity, and responsive capacity to future smart city policy, and applied to one public institution A, B and C. The capacity diagnosis framework for smart city proposed in this study may be used to monitoring the temporal progresses for each institution or changed partially for preparing strategic planning for smart cities wi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institutions. This framework did not aim to evaluate public institutions but to prepare strategic planning for smart cities instead of SWOT analysi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II. 본론
    1. 수준진단 프레임워크 구성
    2. 기관 A에 적용 시 분석 결과
    3. 기관 B에 적용 시 분석 결과
    4. 기관 C에 적용 시 분석 결과
III.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장은미(㈜지인컨설팅 부설연구소 대표이사, 서울시립대학교 겸임교수) | Eunmi Chang (Chief Executive Officer, Ziin consulting Institute)
  • 장환영(한국국토정보공사 디지털트윈처 과장) | Hwanyoung Jang (Manager, LX Department of Digital Twin)
  • 김지원(㈜지인컨설팅 부설연구소 선임연구원) | Jiwon Kim (Junior Researcher, Ziin consulting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