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규의 미술비평에 나타난 시대의식: 전후 시기 새로운 한국 현대미술 모색 KCI 등재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Time Through Chung Kyu’s Art Criticism: In Search of New Modern Ar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584
  • DOIhttps://doi.org/10.15597/jksmi.25083538.2022.34.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본 논문은 미술가 정규(鄭圭, 1923-1971)의 미술비평에 나타난 시대의식을 통해 그가 구 상한 전후 새로운 한국 현대미술을 분석하여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창작 활동 이외에도 비평, 교육, 행정 등 미술의 다방면에서 활약한 그의 예술관 중심에는 전전(戰前)에 대한 종합적 반성을 토대로 전후(戰後)라는 새 시대에 적합한 한국 현대미술의 모색이 있었다. 전후 한국미술계는 거 대한 흐름을 형성한 한국 앵포르멜을 중심으로 실존주의의 불안과 부조리를 내적으로 탐구했다. 반면 정규는 실존주의의 휴머니즘에 주목하여 극복의 징후로 이해한 뒤 동시대 한국의 현실에 반응 한 미술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러한 지점은 그가 회화를 중심으로 재편되어가던 한국미술계에서 낮은 장르로 취급되던 판화, 도예 등 독자적인 활동을 펼치게 추동했다. 본 연구는 초기 한국 현대 미술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다각도로 이해하기 위하여 전후 시기 새로운 차원의 미술을 시도한 정규를 주목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전후 시기 주요 논객으로 활동했던 그의 저술을 분석하여 그가 궁극적으로 정립하고자 했던 한국 현대미술을 체계화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의 형성 기인 전후 시기 미술에 관해 보다 입체적으로 해석할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how Chung Kyu (1923-71) envisioned Korean modern art in the post-Korean War period. It involves a cri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his art from the standpoint of his consciousness of time. After the war, the Korean art scene innately explored the catastrophic anxiety and absurdity of existentialism, accounting for the Korean Informel movement, which formed a main trend. In contrast, Chung Kyu noted that humanism should be existentialism’s primary concern, and sought to produce art accommodating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time. In this context, he engaged independently in printmaking and ceramics, which at the time were considered inferior genres to painting, and put forward his own vision for Korea modern art. As a prominent commentator during the postwar period, he laid out his vision in his extensive writings. This study will present a new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ve period of Korean modern ar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전쟁과 전전 미술에 대한 반성적 사고
Ⅲ. 전후 한국 현대미술의 새로운 방향 탐색
    1. 실존주의와 전후 재건
    2. 도자공예운동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안유진(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학예연구원) | Ahn, Yu Jin (Sungshin Women’s University Museum/Reserc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