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차량제한(vehicle limits)에 대한 국가별 비교 및 작업치료사의 역할 제시

Comparison of Vehicle Limits with Major Countries and Present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Ro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6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Journal of driver rehabilit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한국운전재활학회 (The Korean Society of Driving Rehabilitation)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조건부 운전면허 중 차량제한(vehicle limit)에 대한 국가별 사례를 비교해보고 자율주행까지 범 위를 확대하여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조건부 운전면허 중 신체 및 인지능력 보조를 위한 차량의 개조 및 특정 보조기기 부착조건의 차량제 한 제도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체장애를 기준으로 특정 차량 또는 보조기기 부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반해 영국과 호주는 의학적 진단명에 따른 운전허용 기준을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 작업치료사의 평가와 관련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개인 맞춤형 차량의 개조 및 보조기기를 제공하고 있다. 자율주행시대를 반영한 운전면허 제도 개선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의 시대에 운전자는 새로운 기기의 조작 및 상황대처 능력 등 인지 적 능력이 강조될 것이며, 신체 장애인의 승하차에 대한 중재 필요성은 여전히 요구될 것이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차량제한에 있어서의 호주, 영국과의 비교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바탕 으로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와 역할 확대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review vehicle limits among conditional driving license system focused on the Australia and England, and expand the scope to autonomous driving to find out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Among conditional driving license, there is a vehicle limits, that is vehicle modification and attaching assistive device, for assisting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In South Korea, it is mandatory to provide vehicle modification or attach assistive devices based on physical disab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England and Australia have established driving permission standards according to medical diagnosis conditions, and they provide personalized vehicle modifications and assistive devices through evalu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onsultation with related experts, if necessary. A movement to improve the driving license system reflecting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is underway. In the era of autonomous driving, drivers will emphasize their cognitive abilities, such as the ability to manipulate new devices and cope with situations,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getting in or out of vehicle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ill still be required.
Conclusion : Therefore, the scope and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will expand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evaluating and improving drivers’ cognitive and physical abilit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 론
PART Ⅰ. 차량개조 및 보조기기 제공을 통한조건부 면허의 나라별 비교
    1. 호주
    2. 영국
    3. 한국
PART Ⅱ. 자율주행시대 방향
    1. 자율주행자동차의 정의
    2. 미국의 자율주행관련 현황과 이슈-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유경(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Jeong Yoo-Gye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Master’s Course)
  • 최원석(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임상재활연구과 연구원) | Choi Won-Seuk (Dept. of clinical rehabilitation research,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 안수빈(하남미사행복쑥쑥의원 감각통합치료사) | An Su-Bin (Hanam Misa Happy Clinic Facility,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
  • 박세영(태안군 인공지능융합산업진흥원 작업치료사) | Park Se-Young (Taean AI Industry Promotion Agency, Occupational Therapist)
  • 금효진(경복대학교 교육취업전담 조교수) | Keum Hyo-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Bok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