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아시아 자연주의와 무위의 리더십 KCI 등재

Leadership of Inaction in East Asian Natural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651
  • DOIhttps://doi.org/10.35203/EACT.2022.13.3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동아시아 자연주의에는 무위의 리더십이 매우 중요하게 자리하고 있다. 자 연주의를 직접적으로 표방하는 도가나 천도를 인간 측으로 끌어오는 유가철 학적 인간학에는, 그것들이 비록 함의의 차이를 갖기는 하더라도, ‘무위’를 매 우 중요하게 리더십의 언저리에 담고 있다. 무위’는 무위자연이라 해도 크게 틀리지 않다. 이는 인간의 행위나 꾸밈이 없는 자연스럽게 공동체를 이끄는 리더십이라 해도 된다. 이 이념은 자연, 즉 ‘천’을 인간 내면의 ‘덕’차원에서 문제 삼은 유가철학의 리더십에도 매우 중시된다. 이는 세계 경영 차원으로까지 중요한 권장사항이 된다. 우리는 이런 면모를 대표적으로 유학의 3강령 8조목에서도 볼 수 있다. 대자(對自)와 대타(對他)에 걸쳐 있는 수기치인(修己治人), 수기안민(修己安民), 수기이경(修己以敬)의 ‘수기’라는 ‘자기리더십(Self-leadership)’ 맥락에서는 ‘무위 지치(無爲之治)’가 있다. 무위의 리더십은 잠정적으로는 ‘무위’이지만, 거기에 그치지 않고 그것은 일,현안 해결이나 공동체에 크게 기여하는 ‘유위’를 이룩하게 한다. 만약 리더가 ‘무위’한다면 그 공동체는 자발적으로 ‘유위’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인 각자가 창의력이나 자발적 기운 또는 역동하는 욕망과도 같은 것을 소통할 수 있어서 기대할만하다. 한편, ‘무위’의 용어는 장뤽 낭시의 무위의 공 동체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런 점도 소홀하게 다루지 않으면서, 우리가 사는 현대를 위한 리더십 확보에 한 시사를 얻고자 한다.

In East Asian naturalism, the leadership of inaction is very important. In Confucian anthropology, which draws Taoism and Heaven, which directly advocates naturalism, to the human side, 'inaction' is very importantly placed on the edge of leadership,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meanings. It is not wrong even if it may be a inactive nature. It is not wrong to say that this is leadership that leads the community naturally without human actions or embellishments. This ideology is also highly valued in the leadership of the Confucian philosophy, which takes nature, that is, 'thousands', as an issue in the dimension of 'virtue' within human beings. This becomes an important recommendation even at the global management level. We can see this aspect in three conduction codes and their eight branches of Confucianism as a representative example. ‘Self-leadership’ of Sugichiin(修 己治人), Sugianmin(修己安民), and Sugiyikyung(修己以敬) spanning from self to self and vice versa. In the context of 'leadership', there is no position. Inaction leadership is temporarily 'ineffective', but it does not stop there and achieves great 'effectiveness' that greatly contributes to work, issue resolution, or community. If the leader is 'inactive', the community can voluntarily lay the foundation for 'doing action'. It is expected in that each member of the community can provide a forum for communication of creativity, voluntary energy, and dynamic desire. Leadership of ‘Muwi’ not only in pronunciation but also inaction in meaning as a momentum originates from the old-fashioned philosophy, but it also exists in the Confucian philosophy. Of course, there is also the ‘Muwi’ that Jean-Luc Nancy’s ‘unavoidable community’ refers to. This thesis does not neglect this point, and seeks to obtain a suggestion for securing leadership for the modern age we live in.

목차
논문 초록
Ⅰ. 실마리 글
Ⅱ. 동아시아 자연주의와 무위의 리더십
Ⅲ. 덕치주의에서 무위와 낭시 사유에서 무위
    1. 유가철학의 최고 인격 경계와 ‘무위’
    2. 장-뤽 낭시의 ‘탈자태’로서 무위
Ⅳ. 유위와 무위, 상호공존의 리더십
    1. 유무상생(有無相生), 무한한 유위를 이루는 무위
    2. 무위, 무기, 그리고 무사의 리더십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ract
저자
  • 이명수(부산대학교 교수) | Rhee Myung Su (Professo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