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larization of the “Tomb Owners’ Banquet” Scenes at Tomb Mural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중국의 장의예술은 보수성을 띄며 전례를 중시하기에 다른 예술장르에 비해 민족성과 지 역성이 아닌 시대와 사회 변화에는 그다지 민감하지 않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북송 말엽 화북지역에 집중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한 벽화고분은 전례 없는 특이점들을 보이게 되는데 이 와 같은 변화의 원인으로 벽화고분의 주요 주문자인 묘주층의 사회적 신분 변화가 지적된 바 있다. 송대 이후 성장한 부유한 중간계급은 기존의 상류계급 전유의 고급문화를 선호하여 벽 화고분 축조를 주도했지만, 형식상의 전례를 따르지 않고 벽화의 구성과 양식을 취향에 맞게 변화시키는 등 자기화하였다. 북송대 이후의 신흥 묘주층은 벽화고분의 형식을 바꾸어 놓았 을 뿐 아니라 벽화고분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이용되는 방식도 바꾸어 놓았다. 이 점에 있 어 북송대 벽화고분은 새로운 사회적 가치가 형성되는 시대적 환경 속에서 어떻게 다르게 이 해되고 받아들여졌는가를 살펴볼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송대 벽화고분의 특징을 가장 잘 보이는 벽화 속 <宴飮圖>를 집중 분석하여 이 시대의 벽화고분이 오대 이후 급변한 사회를 반영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 이 주목하는 <연음도>는 묘주부부가 한가로이 연회를 즐기는 장면으로 단순히 벽화를 구성 하는 하나의 도상일 뿐 아니라, 전통적으로 묘주의 정체를 명확히 하고 그들의 내세생활을 대변하는 벽화의 중심 주제로서 기능하였다. 따라서 그 세부 표현에 있어서는 묘주의 신분과 사회적 위치가 강조되며 사자의 특권으로서 현실에서 보기 힘든 신비로운 광경들이 연회의 장면으로 연출되곤 하였다. 그러나 북송대 고분벽화에서의 <연음도>는 묘주의 표현으로부터 전반적인 분위기에 이르기까지 이전시대와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그 차이는 ‘세속성’ 의 강화로 요약되며 이는 묘주인 중간계급이 벽화고분 축조와 사용에 투영한 그들만의 바람 을 반영한다. 본 연구는 북송대 고분벽화 속 <연음도>에서 세속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발 현되는가를 분석하고, 그것이 벽화고분이 오랜 전통으로부터 탈피하여 새로운 사회적 의미를 지니게 되는 근본적인 요소로서 작용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Chinese funerary art has been known as being conservative to the temporal and social changes. However, the mural tombs constructed in the northern China since the end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began to show unprecedented characteristics; this shift was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al status of the mural tomb owners–wealthy middle class, a rising local elite. The middle class led the construction of mural tombs as a desire to emulate the preexisting high-class culture. Still, they did not just follow the precedent forms but customized the styles according to their tastes. This change of tomb owners’ social classes after the Northern Song Dynasty not only changed the form of mural tombs but also affected the way mural tombs were socially recognized and used. In this respect, the mural tombs of the North Song Dynasty show how traditional values were understood and accepted differently in the changing historical and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tries to examine how the mural tomb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reflect the social changes by analyzing the painting of ‘Tomb Owners’ Banquet’ in the mural, which characterizes the mural tombs of the North Song Dynasty. The theme of ‘Tomb Owners’ Banquet’ which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generally denotes the scenes of the tomb owner couple enjoying a banquet in their happy house; this was not merely a theme that constitutes a tomb mural, but the long been central theme of the tomb mural that has a function identifying tomb owners and suggesting ideal afterlife. Therefore, in their details, the social status of the tomb owner had been emphasized, and as the privilege of the dead, a luxurious banquet scene was described. However, the banquet scenes in the tomb mural of the North Song Dynast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era,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e tomb owner to the overall atmosphere; these differences are summarized as ‘reinforcement of secularity’ reflecting the new tomb owners’ wishes at the construction and use of the tombs. This study analyzes how such secularity is expressed in banquet scenes in tomb murals of the North Song Dynasty and attempts to show how the long tradition of funerary art came to divaricate from this transitional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