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대안영역, 직업포부와의 관계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and Occupational Aspiration of College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직업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밝히기 위하여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를 확인한 후,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선정된 직업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대학생에게 배부하여 총 422명의 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엑셀 2019와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치,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성적이고, 지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진로대안영역의 성역할 유형 범위는 3.27점~5.01점, 지위수준은 3.67점~5.29점으로 나타났다. 셋 째, 직업포부는 422명 중 203명(48.1%)이 진로대안영역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진로대 안영역의 성역할하한선과 성공욕구는 낮은 부적 관계, 지위상한선과 학업 성적, 주변의 기대, 성공욕구는 낮은 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포부는 지위수준과 주변의 기대, 성공욕구는 낮은 정적 관계로 나 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reveal how college students choose their jobs, the relationship with self-concept was examined after confirming career alternative areas and job aspirations. A total of 422 ca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elected jobs to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ross-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Excel 2019 and SPSS 22.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neutral and the perception of status was high. Second, the range of gender roles in the career alternative area was 3.27 points to 5.01 points, and the status level was 3.67 points to 5.29. Third, it was confirmed that 203 (48.1%) out of 422 job aspirations were located in the career alternative area. Fourth, the lower limit of gender roles in the career alternative area and the desire for success were found to be a low negative relationship, the upper limit of status, academic performance, surrounding expectations, and the desire for success were found to be a low positive relationship. And job aspiration was found to have a low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status, expectations around it, and desire for succes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요 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 이론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분석 절차
    4.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대학생의 직업 인지도 작성 및 직업 인식 분석 결과
    2. 대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
    3.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대안영역, 직업포부와의 관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기남(제주국제대학교 교수학습센터 연구원) | Kim Ki Nam
  • 최보영(제주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 Choi Bo Yo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