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How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Elderly Affect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공적 노화를 위한 의료 복지서비스 개입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KLoSA) 제8차년도(2020년)> 원자료를 사용하였고, 문헌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SPSS 25.0,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 석,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함으로써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하다. 둘째, 노인의 건강 증진 행위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 높다. 셋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nd to check whether subjective health status acts as a significant parameter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intervention in medical welfare services for successful aging. To this end, the 8th Year of the Aging Research Panel (KLoSA) (2020) was used, a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ing the Model 4.2 program of SPSS 25.0, SPSS PROCESS Macro.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ird,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cts as a significant parameter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목차
요 약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
    2.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3.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4.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도에서의 주관적 건강상태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분석 자료 및 연구대상
    3. 변수 및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3.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4. 매개효과 분석
    5. 가설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동경(가톨릭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 Youn Dong-kyoung (Ph.D. Candidate, Dept. of Social Welf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선희(서울여자간호대학교 부교수) | Kim Sun-hee (Associate Professor, Dept. of Nursing Science, Seoul Women’s College of Nursi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