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군부대 치유정원 기능공간의 중요도-성취도 분석 - 병사와 간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Functional Spaces of Therapeutic Garden in Military Bases for Coping with Stress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of Soldiers and Executive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장병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서 군부대에 치유정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병사 296명과 간부 342명 등 총 638명이며, 설문조사는 2022년 2월 21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하였다. 병사들의 경우, 대부분은 여가를 생활관 주변, 운동시설과 주변, 충성마트와 주변에서 보내며, 옥외공간에서의 주요 이용행태는 휴대폰 사용, 운동, 휴식 등이었다. 평일 옥외공간에서의 여가는 30분 이내가 대부분이며, 주말에는 평일에 비하여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옥외공간 이용 시 동반자 수는 평일과 주말 모두 2~3명이나 혼자서 이용하는 비율이 대부분이었다. 간부의 경우, 평일 주 이용 옥외공간은 산책로와 주변, 생활관 주변이었고 이용행태는 산책, 운동의 비율이 높아 병사와 큰 차이를 보였으며, 평일 옥외공간 체류 시간은 병사들은 10분 정도가 가장 높았으나 간부들은 30분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옥외공간 이용 시 동반자 수는 간부들은 2~3명, 병사들은 혼자서 이용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치유정원을 조성할 경우 기능공간에 대한 중요도는 병사집단의 경우 프라이버시 공간이 가장 높았고 자연감상 공간이 낮았으나 간부집단은 통합기능 공간, 산책 공간, 자연감상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취도는 병사집단의 경우 대화/소통 공간이 가장 높았고 자연감상 공간이 가장 낮았으며, 간부집단의 경우 산책 공간이 상대적으로 높고 프라이버시 공간이 가장 낮았다. 중요도-성취도 분석결과, 지속유지 영역에는 간부집단의 산책 공간, 대화/소통 공간 및 통합기능 공간이 포함되었고 집중지향영역에는 병사집단의 프라이버시 공간과 간부집단의 자연감상 공간, 프라이버시 공간이 포함되었다. 낮은 우선순위 영역은 병사집단의 자연감상 공간, 통합기능 공간, 산책 공간 등이, 과잉영역은 병사집단의 대화/소통 공간만이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to create a therapeutic garden in the military base for active coping with str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38 people, including 296 soldiers and 342 executiv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1 to 25, 2022. Most of the soldiers spent their leisure around the dormitory, at the exercise facilities or its surroundings, and in the convenience store or its surroundings, and the main behaviors in the outdoor space were cell phone use, exercise, and rest. Most of the leisure time in the outdoor space on weekdays is less than 30 minutes, and the number of leisure time increased on weekends compared to weekdays. For the number of companions, most of them were used with 2-3 people or alone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The outdoor spaces that executives mainly use on weekdays were the walking trails or its surrounding areas and around the dormitory, and the ratio of walking and exercise was high,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usage behavior of soldiers. As for the time soldiers spend outdoors on weekdays, about 10 minutes was the highest, but for executives, about 30 minutes was relatively high. Executives are used by 2-3 people together, and the ratio of soldiers using it alone is relatively high. Regarding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space when creating a healing garden for stress relief, the privacy space was the highest in the soldier group and the nature appreciation space was low, but the integrated functional space, walking space, and nature appreciation space were relatively high in the executive group. In terms of performance, the conversation/ communication space was the highest for the soldier group and the space for nature appreciation was the lowest, and for the executive group, the walking space was relatively high and the privacy space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keep up the good work’ included the executive group's walking space, conversation/communication space, and integrated function space, and the ‘concentrate here’ included the soldier group's privacy space, the executive group's nature appreciation space, and privacy space. The ‘low priority’ included the soldier group's nature appreciation space, integrated function space, and walking space, and the ‘possible overkill’ included only the soldier group's conversation/communication spac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2.2 설문지 설계
    2.3 조사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옥외공간 이용실태 분석
    3.2 치유정원 기능공간의 중요도-성취도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양지인(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in Y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심재구(전북대학교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 Jeagu Shim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안득수(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Deugsoo 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