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빅데이터를 활용한 섬 경관 특성 분석 - 전라남·북도 섬을 대상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Islands Using Big Data - Focused on Island in Jeollanam-do and Jeollabuk-do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무분별한 섬 개발과 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사업 등 섬 경관 특성 파악의 필요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기존 경관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섬 경관은 관광 동기의 중요 지표인 고유한 섬의 경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를 고려한 계획 및 관리방안의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가장 많은 섬을 보유하고 있는 전라남·북도의 섬 중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섬 중 빅데이터 분석을 하기에 용이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청산도, 선유도, 보길도, 박지·반월도로 한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사진 및 텍스트 데이터로서 이를 각각의 경관 특성을 파악하고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형식미학적·심리적 경관특성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형식미학적 경관 특성은 사진 데이터를 토대로 경관파악모델 및 색채, 색채 이미지 형용사 분석을 실시하여 각 섬이 보유한 경관구성요소와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심리적 경관특성은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N-gram, 네트워크 분석, 감성분석 등을 실시하여 경관 대상과 행태, 이미지 등을 파악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섬 경관이 대중에게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의미를 파악하였으며 섬 연구에서 수행하는 데 발생되는 시간적·비용적 측면의 한계점뿐만 아니라 계절, 시계열 등 시간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섬의 경관 특성을 고려하여 추후 섬 발전 방향을 더욱 구체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se big data analysis as a wa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andscape research while increasing the need to identify isl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such as indiscriminate island development and projects that do not consider isl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on plans and manag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unique isl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indicators of tourism motiva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Cheongsan-do, Seonyu-do , Bogil-do, and Bakji ·Banwol-do Island, which have easy data for big data analysis among islands recognized at home and abroad. The collected data are photo and text data,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m into formal aesthetic and psych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dentify each landscape characteristic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For formal aesthetic landscape characteristics, landscape models, colors, and color image adjectives were analyzed based on photo data to identify landscap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and psychologi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N-gram, network analysis, and emotion analysis using text data.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the meaning of how the island landscape is used by the public was grasped, and the existing research could be supplemented in that it could grasp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asons and time serie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ime and cost incurred in island research.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it could be a device that can further specify the direction of island development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each islan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 과정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형식미학적 경관특성분석
    3.2 심리적 경관특성분석
    3.3. 종합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
  • 도지윤(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Jeeyoon Do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Joohwan Suh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