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엽장, 엽폭, 엽신장을 이용한 토마토의 엽면적 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Leaf Area Using Leaf Length, Leaf width, and Lamina Length in Tomat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토마토의 생육과 수확량을 예측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엽면적이다. 이러한 엽면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 은 토마토 식물 생장 평가 모델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토마토 잎의 측정을 통해 엽면적(LA)을 추정 하는 효과적인 모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 식 물 잎 조사를 위해 2주 간격으로 5개체의 토마토 식물체의 전 개된 모든 잎에 대해 엽면적(LA), 엽장(L), 엽폭(W), 엽신장 (La)를 측정하였다. LA와 토마토 잎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는 La × W, L × W, La + W, L + W의 식이 강한 양의 관계를 나타 냈다. LA 추정은 LA = a + b(La2 + W2) 을 사용하는 선형 모델 이 가장 정확한 추정치를 나타내었다(R2 = 0.867, RMSE = 88.76). 9월부터 12월까지 토마토 잎의 위치에 따른 상, 중, 하 엽의 모델을 살펴본 결과, 상, 중, 하로 잎 위치에 따른 모델별 결정계수(R2) 값은 각각 0.878, 0.726, 0.794였다. 상위엽을 바탕으로 추정된 모델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10월 이후 토마토 재배 농가에서 중위엽과 하위엽에 실시한 반적엽 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tomato growth and yield is the leaf area. Estimating leaf area accurately is the beginning of an effective tomato plant growth assessment model.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model for estimating plant leaf area through the measurement of tomato plant leaves. Leaf area (LA), leaf length (L), leaf width (W), and lamina length (La) were measured for all leaves of 5 plants at two-week intervals. The correlation between LA and tomato-leaf-independent variables showed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ormulas La × W, L × W, La + W, and L + W. For LA estimation, a linear model using the formula LA = a + b (La2 + W2) gave the most accurate estimation (R2 = 0.867, RMSE = 88.76). After examining the positions of upper, middle, and lower leaves from September to Decemb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values for each model were 0.878, 0.726, and 0.794 respectively. The most accurate estimation came from the model that used the upper leaves of the plants. The high accuracy of the upper-leaf-based model is judged by the 50% defoliation performed by farmers after October.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데이터 수집
    2. 회귀모델 검증
    3.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이재면(국립공주대학교 원예학과 대학원생) | Jae Myun Lee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정재연(국립공주대학교 원예학과 대학원생) | Jae Yeon Jeong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최효길(국립공주대학교 원예학과 교수, 국립공주대학교 자원과학연구소 교수) | Hyo Gil Choi (Professor,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Resource Science Research Institute, Kong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