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논과 밭에서 재배한 18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들 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 가치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 였다. 논과 밭에서 출사일수는 조숙종인 신황옥이 78일로 가장 짧 았고, 강다옥이 92일로 가장 길었다. 그리고 논과 밭의 출사 일수 차이는 조숙종(6일)보다 중 ․ 만생종(10일)에서 더 크게 차이가 발생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장은 논에서 재배한 옥수수가 밭보다 5~10% 감소하였지만, 착수고율은 10~15%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도복과 후기녹체성은 논과 밭에서의 큰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사일리지 사료가치를 증진시키는 옥수수의 암이삭 비율 은 신황옥이 논과 밭에서 55.5%, 47.8%로 가장 높았고, 대부분 품종들은 밭보다 논에서 10~3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삭길이도 10~25% 감소하였다. 생초수량은 다청옥이 밭에서 65,750 kg/ha, 논에서 33,880 kg/ha로 최고 수량을 보였다. 생초수 량과 유사하게 건물수량도 다청옥이 밭에서 26,910 kg/ha, 논에 서 21,670 kg/ha로, TDN수량은 밭에서 18,040 kg/ha, 논에서 14,390 kg/ha로 최고 수량을 보여주었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 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조단백질, 전분을 종실에서 분석한 결 과 논과 밭에서 재배한 품종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잎과 줄기, 종실을 이용하여 ADF와 NDF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잎 과 줄기는 밭에서는 P3394, P1543 같은 수입종이, 논에서 재배할 때는 신광옥, 다안옥 같은 국산품종이 낮을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실에서는 밭보다 논에서 ADF와 NDF 함량이 일부 품종에 서 감소하였지만, 대부분 품종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논과 밭에서 재배한 옥수수 품종들의 사료 가치는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으므로, 배수 관리 등을 통해 생육을 정상적으로 재배 한다면 논에서의 옥수수 수량성을 확보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ison analysis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orage quality of 18silage corn varieties grown in paddy and upland fields. In this condition, days to silking of Sinhwangok was the shortest with 78 days and Kangdaok the longest with 92 day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days to silking at this condition greatly occurred in the late species than in the precocious species. The height and ear height ratio of corn grown in paddy decreased by 5~10% and increase by 10~15% compared to upland,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 ratio of corn which enhances the forage quality was highest in Sinhwangok at paddy and upland and most of the varieties decreased by 10~30% at paddy rather than upland. The length of ear was also reduced by 10~25%. In fresh yield, Dacheongok showed the highest yield at 65,750 kg/ha in upland and 38,830 kg/ha in paddy. Similar to the fresh yield, dry and TDN yield in Dacheongok also showed the highest yield at 36,910 kg/ha, 18,040 kg/ha in upland and 21,670 kg/ha, 14,390 kg/ha in paddy,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crude protein and starch from seeds to evaluate the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grown in this condi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ADF and NDF using leaves, stems and seeds, the contents of leaves and stems were lower in P3394 and P1543 at the upland and lower in Singwangok and Daanok when cultivated at paddy. Moreover ADF and NDF contents were decreased in some varieties in paddy rather than upland. Therefo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ed value of corn varieties grown in this condition, it is possible to cultivate corn in paddy if normal growth is achieved through drainage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