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울산 지역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the Geological Heritages in Ulsan Area,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3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한국의 국가지질공원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 증가하면서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지자체의 관심 도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지질유산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가치평가를 실시해 지질유산의 실질적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발굴된 112개 지질유산 가운데 33곳의 가치를 평가하였 으며, 지질유산은 유형에 따라 지질학적 유산이 2개, 지형학적 유산이 1개, 복합유산이 30개로 나타났다. 울산지역의 지 질유산은 하천, 해안지형이 우세하며 화석, 습곡, 단층, 전단대, 광물, 광상 등 다양한 지형, 지질 요소들이 산출되는 특 성을 보였다. 33개 지질유산의 등급은 세계급 보호대상인 I등급이 3개, 국가급 보호대상인 II등급이 18개, 국가지정 관 리대상인 III등급이 9개, 관리목록 등록대상인 IV등급이 3개이다. 지질유산의 본질적, 부수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했 을 때 강동해안, 주전해안, 태화강 일대(습곡구조, 하천침식지형), 대왕암, 대곡리 반구대 일원, 천전리 공룡발자국, 무제치 늪 지역이 지질학적, 경관적, 생태적·문화적 요인 등이 우수하며 관광자원으로 가치가 높아 향후 지질명소로 활용 가능 성이 높다. 이들을 지질명소로 지질공원 인증을 추진했을 시에 자연공원법 내 지질공원 인증 세부기준에 따라 지속적인 명소 원형 보존과 유지, 지질교육을 통한 과학 교육 수요 충족, 지속가능한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울산광 역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number of National and UNESCO Global Geoparks has increased, awareness of geological heritage and local government interests have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data from the geological heritage sites in the Ulsan area were summarized, a practical use plan for geological heritage was prepared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and the expected effects were also presented. The value for 33 of 112 geological heritage sites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geological heritage types in Ulsan, there were two geological, one geomorphological, and thirty mixed-heritage sites. In the context of the geological heritage of Ulsan, rivers and coastal topography were found to be dominant, and various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features, such as fossils, folds, faults, shear zones, minerals, and ore deposits are included.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there were three, eighteen, nine, and three sites in Classes I, II, III, and IV,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intrinsic and subsidiary values of geological heritage, the Gangdong Coast, Jujeon Coast, Taehwagang area, Daewangam area, the Daegokri–Cheonjeonri track sites, and Mujechineup are likely to be listed as potential geosites. When the endorsement of the geopark has been promoted alongside these geosites, it can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geosites, satisfy the demand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geo-education, and suppor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following the detailed standards for geopark certification in the Natural Parks Act.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the brand value of Ulsan Metropolitan City.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지역
연구 방법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결과
토 의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하수진(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Sujin Ha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채용운(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Yong-Un Chae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희철(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부산대학교 지질재해연구소) | Hee-Cheol Kang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Geohazard Research, Pusan National University)
  • 임현수(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Hyoun Soo L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Corresponding author